치아상실 후 겪을 수 있는 문제, 임플란트로 예방

[정희원 기자] 치아는 뼈와 유사한 성분으로 구성돼 단단하다. 치아 역시 노화되면 점차 약해지고 구강 질환에 취약해져 손상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노화뿐 아니라 갑작스러운 사고나 외상, 질환에 의해 문제가 생기기도 하는데, 치아가 상실된 자리를 방치할 경우 구강뿐 아니라 다방면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어 발 빠른 대처가 필요하다.

 

흔히 치과 임플란트는 치아가 상실된 곳을 회복시키는 치료라 생각한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임플란트 치료를 함으로써 구강질환이 악화되는 것을 예방해 주기 때문에 예방치료라고도 볼 수 있다. 그 이유를 살펴보자.

치아가 상실된 자리의 잇몸 뼈는 더 이상 잡아줄 치아가 없어 점차 흡수되며, 치아에 의해 유지되던 수직적인 관계가 무너져 안모의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인접한 치아들은 치아가 빠진 자리로 기울어지고, 상실된 치아의 위치에 따라서 음식을 씹기 힘들거나 발음이 자꾸만 새어나가는 등의 문제가 나타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임플란트를 고려하기도 한다. 시술을 통해 상실된 치아의 기능과 외형을 복원해 주어야 한다. 치아가 기울어지는 것을 막으면서 음식을 저작할 수 있고, 틀니처럼 탈락할 우려를 없애기 위해 독립된 구조물이 별도로 고정되어야 하는데 임플란트가 이 조건들을 어느정도 충족하는 인공치아이다.

 

임플란트는 인공치근을 잇몸 뼈에 직접 심어 고정시키는 원리로, 다른 치아의 삭제나 외형 변형이 필요 없다. 심어진 인공 치근이 잇몸 뼈에 잘 고정될 경우 잇몸 뼈가 소실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구강 전체가 약해지는 것을 막기 유리하다.

 

상실된 치아의 개수가 많을수록 잇몸뼈가 빠르게 위축되고, 치료 시기가 미뤄질수록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공간이 제대로 확보되지 않을 수 있다. 이미 많은 양의 치조골 흡수가 진행되고 난 후에는 치료가 어렵거나 뼈이식과 같은 부가적인 시술이 필요할 수 있어 결손치가 발생했다면 가능한 빠르게 임플란트를 통해 치아의 기능과 외형을 복원해 주어야 한다.

 

김정환 경기 광주 서울더센트럴치과 대표원장은 “치과에 대한 좋지 못한 기억이 있거나 당장은 불편함이 없다 하여 치료를 미루기도 하는데, 이럴 경우 치료 시기가 늦어질수록 구강 상태가 나빠져 수술 과정이 더 까다로워지고 결국 시간적, 비용적 부담이 커질 수 있다”며 “단 하나의 치아가 부재 되었을 때, 잔존해 있는 다른 치아들이 연쇄적으로 문제를 겪을 수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 치과를 내원하여 정밀 검진을 받아 치료를 시작하길 바란다”고 조언했다.

 

happy1@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