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희원 기자] 사랑니는 세 번째 큰 어금니로, 구강 가장 안쪽에 위치하다 보니 위생관리가 힘들다. 관리가 잘되지 않으면 통증과 함께 인접 치아에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사랑니를 발치하는 경우가 많다.
사랑니 발치 시 중요한 요소는 정밀진단과 의료진의 숙련도다. 사람에 따라 맹출 시기와 모양, 아래턱뼈와 어금니 사이의 공간, 뿌리 깊이, 각도, 방향 등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에서 발치의 난이도가 결정되고 이때 숙련된 의료진의 정밀진단이 필요하다.
특히 하악(아래턱) 사랑니는 뿌리가 신경에 가까이 위치해 있을 경우 신경 손상의 우려가 커 대학병원에서 발치하는 경우도 많다.
공포의 대상인 매복 사랑니의 발치 또한 쉽지 않다. 잇몸뼈 속에 장기간 방치하면 주변의 뼈를 녹이거나 얼굴로 염증을 전파시킬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
완전한 매복 사랑니의 경우, 환자가 느낄 통증과 염증 유발에 취약한 치아로 인접 치아의 뿌리에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고 신경을 건드리거나 비대칭을 유발할 수 있다.
매복 사랑니는 육안에서 볼 수 없기 때문에 잇몸을 절개한 뒤 치아를 쪼개서 뽑아야 한다. 매복 사랑니의 경우 뿌리가 깊숙이 자라 있어 신경과 가까울 수 있기 때문에 발치 전 정밀진단이 중요시된다.
김정환 광주시 서울더센트럴치과 대표원장은 "사랑니는 사람마다 그 형태와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가 있는 치과를 찾는 것이 도움이 된다"라고 조언했다.
이어”사랑니 발치는 세 단계가 중요한데 발치 전 정밀진단, 발치 중 의료진의 숙련도, 발치 후 환자의 사후관리가 잘 이루어진다면 안전한 사랑니 발치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원장은"매복 사랑니 발치 진료를 경험한 이후 치과진료에 대한 두려움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불안함을 감소시키고자 수면치료나 무통치료를 동반한 방법으로 진행하고 있는 의료기관이 있고, 이러한 치과를 찾는 것도 환자로 하여금 편안한 치료를 받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happy1@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