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한 모금] 자주 들어도 헷갈리는 경상수지, A to Z

부산시 남구 신선대 부두 전경. 뉴시스

 

‘수출 부진에 경상수지 OO억 달러 적자’, ‘배당소득 덕에 경상수지 턱걸이 흑자’…

 

주요 경제기사를 통해 자주 접하지만 경상수지의 개념은 늘 어렵기만 하다.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는 이번 주 ‘경제 한 모금’ 코너를 통해 경상수지의 개념과 최근 수치의 주요 특징을 짚어본다.

 

경상수지는 국가 간 상품이나 서비스를 사고파는 거래로 나타나는 수지를 말한다. 크게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및 이전소득수지로 구성된다. 

 

상품수지는 거주자와 비거주 간 상품을 교역한 내역을 계상한 것이다. 경상수지 내 가장 비중이 크다. 수출이 수입보다 많으면 흑자, 그 반대면 적자로 표시한다. 흑자가 났더라도 수입액이 수출액보다 더 크게 줄어든 데 따른 결과라면 ‘불황형 흑자’라 일컫기도 한다. 물론 학계의 공식 용어는 아니다.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수출입 여건에 따라 상품수지가 크게 영향을 받는다. 글로벌 IT경기는 핵심 수출품목인 반도체 수출에, 원유나 천연가스 등 에너지류 가격은 수입 여건에 적잖은 영향을 미친다.

 

상품수지는 무역수지와 유사하면서도 다르다. 상품에 대한 수출입액 차를 나타냈다는 점에선 비슷하다. 상품수지는 소유권이 이전돼야 수출입으로 간주하지만, 무역수지는 통관기준으로 작성된다는 점은 다르다.

 

서비스수지는 다른 나라와 서비스거래를 통해 벌어들인 돈과 지급한 돈의 차이를 뜻한다. 가공, 운송, 여행, 건설, 보험, 금융, 통신, 지식재산권, 유지보수, 정부서비스, 기타사업서비스 등의 항목으로 이뤄진다. 서비스수지는 거래항목별로 수입과 지급으로 나눠 계상한다. 한 예로 외국인 관광객이 우리나라에서 쓰고 간 외화는 서비스 수입으로 잡힌다. 국내 기업이 외국 회사로부터 기술용역을 받은 대가를 지급했다면 이는 서비스 지급으로 기록된다.

 

본원소득수지는 우리 국민이 해외에서 번 돈과 외국인이 국내에서 번 돈의 차이를 뜻한다. 급료 및 임금은 외국인 근로자에게 지급되거나 내국인 해외근로자가 수취하는 금액의 차이를, 투자소득은 대외 금융자산과 부채의 보유에 의해 발생하는 배당금과 이자 등의 수입과 지급의 차이를 일컫는다. 투자 형태에 따라 직접투자소득, 증권투자소득, 기타투자소득으로 세분화된다.

 

올해 1월 법인세법 개정에 따라 기업들의 세금 부담이 완화되자 본원수지가 배당을 중심으로 큰 폭의 흑자를 보이고 있는 점도 최근 본원소득수지의 특징이다. 해외 자회사가 국내 본사에 배당을 실시할 때 현지에서 세금을 내면 국내에선 이를 면제해주기로 한 것인데, 국내 기업들로선 ‘이중과세’ 부담을 덜게 돼 자본을 국내로 이전하는 유인이 확대됐다. 이 밖에 통상 4월엔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대규모 배당지급이 발생해 경상수지 악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도 계절적 특징 중 하나다.

 

이전소득수지는 내국인과 외국인 간 무상으로 주고받는 거래 간 차이다. 재외교포가 국내 친지에게 보내는 개인송금, 국내 자선단체의 해외 기부금, 정부간 원조금, 국제기구 출연금 등이 포함된다.

 

오현승 기자 hsoh@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