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행과 저축은행에서 돈을 빌리지 못해 대부업을 이용한 가구 비중이 4년 만에 상승세로 전환됐다.
지난해 초부터 기준금리가 거듭 상승하면서 자금 조달금리가 오르자 은행이나 저축은행 등은 신용대출 규모를 축소했다. 이에 저신용자들이 질 낮은 대출 창구로 밀려난 것으로 보인다.
10일 한국은행·통계청·금융감독원의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신용대출 가구주 중 대부업체 등 ‘기타 기관 등’에서 돈을 빌린 가구주 비중은 7.9%로 지난해(6.9%)보다 1.0%포인트(p) 상승했다. 이는 2019년(11.4%) 이후 4년 만에 상승세로 전환한 것이다.
‘기타 기관 등’은 시중은행, 저축은행, 우체국·새마을금고 등 비은행금융기관을 제외한 기타 여신업체로, 급전이 필요한 저신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제도권 내 마지막 창구다.
2019년 정점을 찍은 ‘기타 기관 등’ 대출 가구주 비중은 매년 하락해 지난해 6.9%까지 떨어졌지만 올해 다시 8% 턱 밑까지 상승했다.
또 다른 급전 창구인 보험회사의 신용대출 가구주 비중도 같은 기간 0.8%에서 1.1%로 상승했다.
반면 제1금융권인 은행에서 돈을 빌린 차주 비중은 78.8%로 지난해(78.8%)보다 1.0%포인트 하락했다.
은행 대출 가구주 비중은 2019년(75.3%) 이후 매년 상승세를 나타내다가 4년 만에 뒷걸음질 쳤다. 지난해 초부터 기준금리가 급격히 상승하자 자금 조달금리 또한 오르면서 저축은행과 비은행금융기관이 신용대출 규모를 줄였다. 이 때문에 제도권 내 마지막 대출 창구인 대부업으로 신용대출 수요가 이동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대부업 또한 고금리 장기화와 조달금리 상승으로 대출을 줄이고 있어 저신용자들은 불법사금융으로 내몰리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문제는 불법사금융 피해도 급증하고 있다는 것인데, 금융감독원 불법사금융 피해신고센터에 접수된 불법사금융 피해상담·신고 건수를 보면, 2019년 5468건에서 지난해 1만913건으로 약 2배 가까이 증가했고 올 상반기에는 6784건으로 지난 5년 중 같은 기간 대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불법사금융 기승에 정부는 불법사금융 처단과 불법 이익 박탈, 피해자 구제 방안 등 강력 처단에 나섰다.
이주희 기자 jh224@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