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 부위 중에서도 무릎은 사용량이 많고 하중을 받기 때문에 질환 발병률이 높다. 대표적으로는 퇴행성 무릎관절염이 있다. 한국인의 경우 좌식 즉, 양반다리 문화 등으로 이미 무릎에 많은 부담을 주고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퇴행성 무릎관절염이란 무릎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의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이를 이루고 있는 뼈와 인대, 연골에 손상이 발생해 염증 및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을 뜻한다. 과거 60대 이후 나이에서 발병했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점차 발병 연령대가 낮아지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주요 증상은 안정을 취하면 통증이 호전되지만 서 있거나 동작을 취하면 통증이 발생한다. 또한 퇴행성 관절염이 발생한 병변 부위를 눌렀을 때 통증이 느껴지며 관절에서 부종과 소리가 나는 경우도 있다. 관절의 가동 범위가 줄어들고 특히 아침에 일어났을 때는 굳은 느낌이 들기도 한다.
증상이 심하지 않은 퇴행성 무릎관절염 초기에는 비수술 치료를 통해 회복이 가능하다. 약물 치료, 물리 치료, 운동 치료와 더불어 관절염에 빠른 효과를 보이는 주사 치료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약물 치료의 경우 위장관계를 통해 흡수되면서 관절 부위로 작용하게 된다. 물리 치료와 파스는 피부를 통해 효과가 간접적으로 전달되기에 관절 주사 치료에 비해 느리고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보존적 치료로도 통증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관절강내 주사요법들을 시행하여 연골의 염증을 가라앉히고 재생을 유도하게 된다. 관절 주위 인대나 힘줄, 근육과 같은 연부조직에 염증이나 국소적 파열과 같은 손상이 있는 경우 위와 같은 소염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을 건초 내 주사, 근육 내 주사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항염증 작용을 통해 회복에 도움을 주는 방법도 있으며 조직의 재생을 유도해야 하는 증식치료에는 프롤로 주사를 적용할 수 있다.
김태윤 성북구 더서울병원 원장은 “무릎 퇴행성관절염의 주사치료를 적용할 땐 적정량을 일정 기간동안 나누어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너무 자주 주사하거나 과용량으로 주입할 경우 2차적인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의료진과 상의하여 조율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어 “퇴행성 무릎관절염 초기에는 적용할 수 있는 비수술 치료가 많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에 병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정희원 기자 happy1@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