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인 49.7%, 내년 '긴축경영' 계획…내수부진·인건비 부담 우려”

경총 ‘2025년 기업 경영전망 조사’ 결과

한국경영자총협회 제공

 

 

30인 이상 기업의 최고경영자(CEO)와 임원진 중 절반가량이 내년 경영계획 기조를 ‘긴축경영’으로 계획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내수부진과 인건비 부담을 경영상의 어려움으로 꼽는 응답자가 많았다.

 

한국경영자총협회은 30인 이상 기업 239개사(응답 기업 기준) CEO 및 임원을 대상으로 ‘2025년 기업 경영전망 조사’를 실시한 결과, 내년 경영계획을 수립한 기업 중 49.7%는 내년 경영계획 기조를 긴축경영으로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긴축경영에 나서겠다는 기업인의 응답비율은 2019년 조사(50.3%) 이래 가장 높았다.

 

‘현상 유지’(28.0%), ‘확대경영’(22.3%) 응답자의 비율은 20%대에 그쳤다. 특히 300인 이상 규모 기업에서는 긴축경영 응답이 61%로 나타났는데, 이는 2016년 조사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높은 수치다. 내년 경영환경을 어둡게 전망하는 기업인들이 늘었다는 얘기다.

 

투자 및 채용 전망도 어두웠다. 내년 투자계획을 묻는 질문에 대해 ‘투자 축소’ 응답은 39.5%로 가장 높았다. 다음은 ‘금년 수준’(35.0%), ‘투자 확대’(25.5%) 순이었다. 내년 채용을 늘릴 거란 응답은 18.4%에 그쳤다. 채용을 줄이겠다는 답변은 36.9%, 올해 수준으로 채용하겠다는 응답은 44.6%로 집계됐다.

 

기업인들은 기업 경영상 주된 애로요인을 묻는 질문(복수응답 가능)엔 ‘내수 부진’(66.9%)과 ‘인건비 부담 가중’(64.0%) 응답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 다음으로는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 성장세 둔화’(19.7%),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확산’(16.3%)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 경기 회복세가 본격화되는 시점을 묻는 질문엔 ‘2026년 이후’라는 응답이 59.8%로 가장 많았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내수부진, 높은 인건비 부담과 함께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대외 불확실성까지 더해지면서 기업, 특히 대기업들의 긴축경영 기조가 크게 높아졌다”며 “내년도 경기상황이 크게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기업이 투자를 확대할 수 있는 유인 마련이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오현승 기자 hsoh@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