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루샤 아니면 올다무로 갈렸다”…유통시장 양극화 뚜렷

3대 명품 지난해 매출 역대 최대, VIP 모시는 백화점
진격의 올다무…매출 4조원 시대 열어

장기화된 불황으로 유통시장 소비 트렌드가 프리미엄과 가성비로 양극화하고 있다. 지난해 3대 명품은 역대 최대 매출을 올렸고, 신흥 유통강자인 올다무도 역대 최대 매출을 갈아치웠다. 그래픽=김세찬 기자

 고물가와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유통시장이 고급화와 가성비로 양극화되고 있다. CJ올리브영∙다이소∙무신사 등 이른바 올다무는 실용성을 앞세워 외국인 관광객도 필수로 방문하는 신흥 강자로 부상했다. 빅3 명품 브랜드로 일명 에루샤로 불리는 에르메스∙루이비통∙샤넬도 지난해 한국에서 역대 최대 매출을 올렸다.

 

 백화점은 초프리미엄 상품을 원하는 VIP층을 사로잡기 위해 프리미엄 전문관을 새롭게 론칭하며 차별점을 두고 있다. 대형마트와 편의점은 마진이 높은 자체브랜드(PB) 상품을 확대하는 등 실용 소비를 겨냥한 판매 전략을 펼치고 있다.

 

 20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 동향을 나타내는 소매판매액지수가 전년 대비 2.2% 줄어 신용카드 대란 사태가 있었던 2003년(-3.2%)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을 기록했다. 2022년부터 3년 연속 감소하며 역대 최장기간 하락세가 이어졌다.

 

 역대 최악의 소비 침체에도 3대 명품인 에르메스, 루이비통, 샤넬이 지난해 한국에서 거둔 매출은 총 4조6000억원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브랜드는 최근 몇 년간 가격 인상 릴레이를 이어가고 있지만, 오히려 가격이 오를수록 수요가 높아지는 베블런 효과가 두드러지고 있다.

 

 이에 백화점 업계는 하이 주얼리, 뷰티, 패션, 식품 등 특정 상품군을 세분화한 프리미엄 전문관을 내세우며 고급화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VIP 전용 서비스도 확대한다. 백화점별로 작년 매출에서 VIP가 차지하는 비중은 롯데백화점 45%, 신세계백화점 45%, 현대백화점 43%, 갤러리아백화점 51% 등이다.

 

롯데백화점 본점 1층에 새롭게 문을 연 럭셔리 주얼리 반클리프 아펠 매장 전경. 롯데백화점 제공

 롯데백화점은 지난달 본점 1층에 반클리프 아펠과 그라프 매장을 동시에 개장하며 럭셔리 주얼리 포트폴리오를 확대했다. 지난해 롯데백화점의 명품 주얼리 매출은 전년 대비 20% 이상 신장했으며, 올해 1~3월에도 35% 이상 성장했다.

 

 신세계백화점 본점은 최근 신관을 패션∙식음료 중심의 디 에스테이트, 옛 제일은행 본점 건물을 럭셔리 부티크 전문관 더 헤리티지로 단장해 선보였다. 본관은 국내 최대 규모의 루이비통과 에르메스 매장을 품은 더 리저브로 바꿔 하반기에 문을 연다. 신세계백화점 본점은 기존 VIP 라운지 4개를 리뉴얼하고, 디 에스테이트와 더 헤리티지에 라운지를 1개씩 추가로 선보였다.

 

 현대백화점은 지난해 더현대 서울에 루이비통과 프라다의 남성 전문 매장을 선보였으며, 셀린느 신규 매장 오픈을 준비 중이다.

 

 갤러리아백화점은 압구정동 명품관 웨스트관을 고급공간으로 새단장하고 있다. 상반기 중 스위스 명품시계 모저앤씨와 독일 보석 브랜드 벨렌도르프를 국내에서 처음 선보인다.

 

균일가 생활용품점 다이소의 지난해 매출이 4조원에 육박했다. 서울의 한 다이소 매장. 뉴시스

 이와 동시에 올다무를 중심으로 가성비와 실용성을 우선시하는 소비 트렌드가 확산하고 있다. 불황 속 작은 사치가 활발해지는 립스틱 효과로 중소 패션∙뷰티 브랜드의 가성비 제품을 구매하려는 수요가 늘어난 영향이다.

 

 CJ올리브영의 중소기업 제품 비중은 80% 이상으로 백화점 입점 브랜드 대비 가격 부담이 적다. 다이소는 전 제품을 최소 500원부터 최대 5000원까지 균일가로 판매한다. 무신사는 디자이너 브랜드와 PB인 무신사 스탠다드를 주요 품목으로 전개하고 있다.

 

 CJ올리브영의 지난해 매출은 약 4조8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24% 늘었다. 2016년 1조원, 2021년 2조원, 2023년 3조원, 지난해 4조원을 돌파하며 거침없는 성장세를 보였다.

 

 다이소의 지난해 매출액은 3조9689억원으로 전년 대비 14.7% 증가했다. 2015년 매출 1조원 고지를 밟은 후 약 9년 만에 4배가량 성장했다.

 

 무신사의 지난해 연 매출은 전년 대비 25.1% 증가한 1조2427억원으로 창사 이래 처음으로 1조원대 매출을 올렸다. 영업이익은 1028억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지난해 거래액은 14% 늘어난 4조5000억원이었다.

 

 최근에는 다이소와 무신사도 뷰티 상품군을 확대하며 CJ올리브영의 아성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오프라인 유통시장 침체에도 나홀로 성장을 이룬 편의점업계 역시 뷰티 등 비식품 상품군을 강화하고 나섰다. CU∙GS25∙세븐일레븐∙이마트24 등 편의점 4사 모두 가성비 스킨케어 상품을 도입했다. GS25는 무신사와 손잡고 의류 12종을 판매하고 있으며, 세븐일레븐은 티셔츠 등 PB 의류를 출시했다.

 

 대형마트는 업의 본질인 가격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PB 상품 확대에 힘을 쏟고 있다. 이마트는 피코크와 노브랜드 상품을 운영해 PB 매출 비중이 2020년 8%에서 2022년 10%, 지난해 11%로 높아졌다. 롯데마트의 요리하다와 오늘좋은 등 PB 매출 비중은 지난해 5%대에서 올해 1분기 10%로 뛰었다.

 

이화연 기자 hylee@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