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 미국 간 첫 장관급 통상 협의가 있었다.
25일 국내외 언론에 따르면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4일 미국 재무부 청사에서 미국 측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USTR)와 1시간 10분여 협의를 진행했다.
이 시간 동안 어떤 협의가 오갔는지 그 결과는 조만간 우리 정부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FTA를 체결한 이래로 무관세로 무역관계를 맺어왔던 한미 양국은 올해 출범한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관세를 부과하면서 새롭게 이번 협의를 통해 무역관계 재정립에 나서게 됐다.
이 자리에서는 양측의 기본적인 무역관계에 대한 성격 규정과 각종 요구 사항을 확인하는 자리였던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12일부터 철강∙알루미늄에 25%, 지난 3일부터 미국 외에서 생산된 자동차에 대한 25%의 관세를 각기 부과했고, 지난 5일부터는 10%의 기본 관세(보편관세)도 발효했다. 이들 관세는 한국뿐 아니라 모든 무역상대국이 대상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을 포함한 57개 경제주체(56개국+유럽연합)에 차등화된 상호관세를 9일 발효했다가 13시간만에 90일간 유예(중국 제외)하는 결정을 내리기도 했다.
우리 정부는 상호관세 유예기간 동안 미국과 협상에 이를 폐지하거나 축소하는 것이 첫 번째 목표다. 그 대신 그동안 트럼프 행정부가 언급한 비관세 장벽 철폐 문제를 두고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트럼프 행정부는 우리나라와 일본을 관세 협상 모범 사례로 만들기 위해 우선 협상대상국으로 지명하기도 했다. 우리나라는 6.3 대선을 앞두고 현재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라 이번 합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협의가 이어질 전망이다.
한준호 기자 tongil77@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