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들의 경제 인식과 심리를 나타내는 소비심리가 4개월 만에 ‘비관적’으로 바뀌었다. 수출 부진 우려가 확대되고 체감 물가도 상승하면서 경제 전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악화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9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9.7를 기록해 8월(103.1)보다 3.4포인트(p) 하락했다.
지수는 4개월 만에 100 아래로 떨어졌으며, 지난 5월(98.0) 이후 가장 낮았다. 추세로도 지난 8월(-0.1p)에 이어 두 달 연속 하락세다.
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구성하는 15개 지수 가운데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등 6개 지수를 표준화해 합성한 지수로, 경제 전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종합적으로 판단한 지표다. 100보다 크면 과거(2003∼2022년)와 비교해 소비 심리가 낙관적, 100 아래로 떨어지면 비관적이라는 의미다. 이번 조사는 지난 11∼18일, 전국 2500가구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8월과 비교해 CCSI를 구성하는 6개 지수 모두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별로 현재경기판단(66·-6p)과 향후경기전망(74·-6p)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생활형편전망(92·-3p), 현재생활형편(89·-2p), 가계수입전망(99·-1p), 소비지출전망(112·-1p) 역시 하락했다.
다만 주택가격전망지수는 3p 오른 110으로 조사됐다. 1년 뒤 집값 상승을 예상하는 소비자가 하락을 내다보는 소비자보다 많았다는 뜻이다. 주택가격전망지수는 지난해 11월(61) 역대 최저 수준까지 떨어진 뒤 10개월 연속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금리수준전망지수는 118로 지난달과 같은 수준을 기록했다. 물가 상승률이 반등하면서 긴축 기조가 유지되고, 대출금리를 포함한 시중금리가 높은 수준에서 지속된 영향으로 보인다. 이 지수는 6개월 후 금리가 지금보다 오를 것이라고 답한 사람이 하락을 예상한 사람보다 많으면 100을 넘어선다.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전월과 같은 3.3%를 기록했다. 앞으로 1년 동안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올해 2월 4.0%까지 상승했지만 이후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소비자물가 상승 요인으로는 ▲공공요금(66.9%) ▲석유류 제품(54.9%) ▲농·축·수산물(37.4%) ▲개인 서비스(14.8%) 등 순서로 응답 비중이 높았다. 전월에 비해선 석유류 제품(20.1%p) 응답 비중이 증가한 반면 공공요금(-5.3%p), 농·축·수산물(-4.1%p) 비중은 감소했다.
유은정 기자 viayou@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