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 플랫폼 발란, 결국 기업회생 신청…인수합병 추진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가 발생한 발란이 결국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사진=발란 제공

명품 온라인 플랫폼 발란은 31일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최형록 발란 대표는 “올해 1분기 내 계획한 투자 유치를 일부 진행했으나 예상과 달리 추가 자금 확보가 지연돼 단기적인 유동성 경색에 빠졌다”며 “파트너들(입점사)의 상거래 채권을 안정적으로 변제하고 발란 플랫폼의 지속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 회생을 신청하게 됐다”고 말했다.

 

최 대표는 “일반 소비자에게 금전적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고, 현재 미지급된 상거래 채권 규모도 발란의 월 거래액보다 적은 수준”이라며 “이달부터는 쿠폰 및 각종 비용을 구조적으로 절감해 흑자 기반을 확보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발란의 월 거래액은 평균 300억원으로 알려졌다.

 

그는 “단기적인 자금 유동성 문제만 해소된다면 빠르게 정상화될 수 있다”며 “앞으로 진행할 회생절차는 위기를 극복하고 다시 건강한 재무구조로 재정비해 파트너의 권익을 신속히 회복하고 지속 가능한 사업 기반을 마련하는 회복의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최 대표는 “회생절차와 함께 인수합병(M&A)을 빠르게 추진하겠다며 이번 주중에 매각 주관사를 선정하겠다”고 전했다.

 

그는 “회생계획안 인가 전에 외부 인수자를 유치, 현금흐름을 대폭 개선해 사업의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을 빠르게 높일 것”이라며 “인수자 유치로 파트너들의 상거래 채권도 신속하게 변제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최 대표는 “발란은 담보권자나 금융권 채무가 거의 없는 구조”라며 “회생절차에서 가장 중요한 채권자는 바로 파트너”라고 언급했다.

 

최 대표는 인수자 유치 과정에서 기존 입점사들이 지속해 사업을 영위할 수 있는지를 우선으로 보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발란의 목표로 ▲회생 인가 전 인수자 유치 ▲미지급 채권 전액 변제 ▲안정적인 정산 기반과 거래 환경 복원 ▲파트너와의 거래 지속 및 동반 성장 등을 제시했다.

 

발란은 당초 지난 24일로 예정된 입점사 정산금 지급을 미루면서 확정 정산금액과 지급 일정을 28일 안내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그러나 28일 이를 번복하고 차주로 일정을 미뤘다.

 

일각에서는 발란이 이미 기업회생 신청을 준비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지난 25일 발란 측과 미팅을 한 판매자들이 발란 사무실의 컴퓨터 화면에 ‘회생 관련 제출 자료’라는 제목의 파일이 있었다며 직접 촬영한 사진을 온라인 커뮤니티에 게시했기 때문이다.

 

2015년 설립된 발란은 한때 머스트잇, 트렌비와 함께 ‘머트발’로 불리며 국내 온라인 명품 플랫폼 시장을 주도했다. 2022년에는 기업가치를 3000억원까지 인정받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수년간 판매 부진과 고객 이탈 등으로 어려움을 겪으며 기업가치는 10분의 1인 300억원대로 추락했다.

 

이화연 기자 hylee@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