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관 산업장관 후보자 “美 관세에 국익 전제 ‘실용 통상’... 무역구조 혁신”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가운데)가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시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가 17일 미국의 관세 조치와 관련해 “국익 극대화를 전제로 실용적 통상정책을 전개하겠다”고 밝혔다. 

 

김정관 후보자는 이날 오전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미국의 관세 조치,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으로 우리 수출을 견인하던 자유무역은 더 이상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며 “글로벌 경쟁의 판이 흔들리는 상황에서 우리 산업과 기업은 격랑에 휩싸여 좌초되느냐, 새로운 질서를 이끄느냐의 갈림길에 서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향후 ▲수출과 투자 확대 ▲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 뒷받침 ▲친환경 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안보 확보 및 탄소중립 실현 ▲지역경제 생태계 복원 등을 중점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모든 역량을 결집해 우리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과 투자를 확대하겠다”며 “새로운 수출 시장과 품목을 개척하고 금융, 마케팅 등 수출 인프라를 대폭 확충하는 등 무역구조를 종합적으로 혁신해 수출 1조 달러 시대를 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관련 부처, 지원기관, 업계 등이 참여하는 '산업·무역 전략회의'를 개최해 수출·투자 기업을 위한 전방위적 지원 대책을 마련하겠다고도 약속했다.

 

아울러 김 후보자는 “인공지능(AI)과 에너지 혁명 시대에 선제 대응해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산업 현장에 AI를 대대적으로 접목·활용해 산업 생산성과 부가가치를 근본적으로 높이고, 중견·중소기업까지 폭넓게 확산시키겠다”며 “기업 관점에서 연구개발(R&D)·사업화 체계를 개편하고 AI 반도체·휴머노이드 등 차세대 기술을 개발해 미래 혁신 기반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여기에 반도체·미래차 등 핵심 산업에서 초격차 경쟁력을 확보하고, 석화·철강 등 공급과잉 산업은 신속한 사업 재편과 고부가 제품 전환을 통해 재도약 계기를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 실현과 관련해선 “입지, 전력망, 시장 제도 등을 개선해 재생에너지를 본격적으로 확대하고 그 과정에서 국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추진하고 산업 측면에서 중요성이 높은 원전도 안전성과 수용성을 바탕으로 착실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에너지 고속도로 등 전력 인프라와 시스템을 혁신해 전력시장의 유연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고 지역간 전력 불균형도 해소해 나가겠다”며 “국민 생활 안정과 산업 경쟁력을 뒷받침하는 에너지 가격 체계를 마련하고 기후민감계층의 기본적인 에너지 이용이 확보되도록 에너지 복지도 두텁게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지역경제 생태계 복원과 관련해선 “5극 3특 초광역권 산업을 육성해 다극적 지역균형 성장의 기반을 마련하겠다”며 “RE100 산단 조성, 과감한 규제 혁신과 인센티브 등을 통해 기업의 지방 투자를 촉진하고 부처 협력으로 교육·의료 등 정주 여건을 확충해 지역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에 실질적인 성과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이정인 기자 lji2018@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