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자체 ‘AI 육성’ 총력전… 정부 ‘AI 3대 강국’ 발맞춘다

 지난 29일 SK케미칼 울산 공장 인근에서 열린 AI데이터센터 기공식 및 AI 수도 선포식에서 김두겸 울산시장, 최창원 SK 수펙스추구협의회의장,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등 참석자들이 축하 버튼 터치 세레모니를 하고 있다. 뉴시스

 

 인공지능(AI) 산업 육성이 국가적 과제로 부상하면서 전국 지방자치단체들도 각자의 장점을 앞세워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최근 정부는 AI 3대 강국을 목표로 경제·사회 모든 분야의 AI 대전환을 위한 15개 과제를 추진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지자체들은 국가 정책의 물결에 올라타 AI 선도 도시라는 고지에 깃발을 먼저 꽂기 위해 총력전에 돌입했다.

 

 가장 눈길을 끄는 곳은 울산이다. 시는 최근 울산 미포국가산업단지에서 열린 AI데이터센터 기공식에서 “산업수도에서 AI수도로 거듭나겠다”고 선언했다. 2029년까지 울산 남구 황성동 일대 3만6000㎡에 103㎿ 규모로 구축 예정인 AI데이터센터는 SK와 아마존웹서비스가 7조원을 투자했다. 이재명 대통령도 지난 6월 AI데이터센터 출범 행사장을 방문한 바 있다. 시는 AI데이터센터 구축을 계기로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관련 업계 혁신기업의 울산 유치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경북 포항시도 AI컴퓨팅센터를 세우기 위해 지난 6월 경북도, AI 기업, 지역대학 등과 함께 투자 양해각서를 맺었다. 향후 10년간 2조원을 들여 포항 북구 흥해읍 포항경제자유구역 4만7647㎡에 건립할 계획인 AI컴퓨팅센터는 최신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약 17만장 탑재해 고난도 AI 모델 학습과 대규모 실시간 데이터 처리 등을 지원하게 된다.

 

 포항시, 경북도, AI 기업, 지역대학 관계자들이 지난 6월 AI컴퓨팅센터 구축을 위한 투자 양해각서 체결식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포항시 제공

 

 정부가 최근 AI 혁신 거점으로 선정한 광주, 대구, 전북도, 경남도 역시 분주하게 대응 중이다. 광주는 지난 5년간 4300억원 규모의 AI 1단계 사업을 통해 국가AI데이터센터, 대형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등 기반 시설을 구축했다. 이번에 2단계 사업인 AX(AI 전환) 실증밸리 조성이 예타를 면제받아 추진에 탄력을 받게 됐다. 내년부터 5년간 6000억원을 투입해 모든 시민이 AI 기술의 혜택을 체험하고 공유하는 AI 모델 구현에 중점을 두고 모빌리티와 에너지산업 AX 핵심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전북도의 피지컬 AI 실증 거점 조성사업은 전략 모델을 수립·기획하고 기술 구현을 위한 기초 모델 및 개발 인프라에 중점을 둔다. 분야별 산학연의 공동 연구도 진행된다. 2030년까지 들어가는 총 사업비만 1조원이다. 경남도는 제조 분야 피지컬 AI 파운데이션 기술개발·실증사업을 내년부터 본격 추진한다. 국비와 민간 투자를 포함해 1조원을 투입할 해당 사업은 국가 제조 분야에 범용으로 투입할 수 있는 피지컬 AI 모델과 정밀 제어, 예지 정비(고장·이상 징후 사전 감지) 등 제조공정에 대한 분야별 AI 솔루션 개발이 골자다.

 

 자체 청사진을 마련해 실행에 나선 지자체도 있다. 인천은 피지컬 AI, 제조 AI, AI 로봇 분야의 핵심 기술을 육성하기로 했다. 특히 강력한 제조업 기반과 국제공항, 항만을 보유한 인천의 강점을 살려 AI를 통해 혁신을 이룬다는 구상이다.

 

 충북도는 최근 AI 대전환 밑그림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을 마무리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최고 의사결정 기구인 AI 혁신 얼라이언스 출범, AI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할 전담부서 신설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박재림 기자 jamie@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