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 많고 피부 건조하세요? 가을철 보약 '이것' 드세요”

굴의 계절이 돌아왔다. ‘바다의 우유’로 불리는 굴은 성장기 아이들부터 성인까지 남녀노소 모두에게 영양학적 도움이 되는 식재료다. 철분·칼슘·아연·단백질 등 영양분이 풍부하고, 수확철인 9월에 살이 올라 가을철 대표 보양음식으로 꼽힌다. 특히 굴은 기온과 습도의 변화가 커 쉽게 피로해지고 무기력증이 발현되는 환절기, 면역력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김동우 일산자생한방병원장의 도움말로 똑똑하게 굴을 섭취하는 법에 대해 들었다.

-한의학에서 본 굴의 성질은.

 

굴은 차고 서늘한 성질의 식재료로, 달면서 짭짤한 맛을 낸다. 실제 동의보감에도 “굴은 평온한 성질을 갖고 있으며 눈과 혈액, 뼈 건강에 좋고, 생식 기능에도 도움이 된다. 불필요한 점액과 노폐물 생성을 줄여주고 땀과 수분이 새어 나가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고 기록돼 있다. 또 다른 고서인 본초강목에도 “굴은 얼굴이 화끈거리는 증상을 가라앉히고, 산모의 출산 후 회복에 도움을 준다고 명시돼 있다.

 

-어떤 사람에게 추천할 만한가.

 

"한의학에선 열이 많고 얼굴에 홍조 기운을 띄는 사람, 그리고 몸이 건조해 피부가 거친 사람에게 잘 맞는 음식이라고 본다. 굴의 강한 염분은 몸에 땀이 과하게 나는 것을 잡아주는 등 체액이 쉽게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준다. 이처럼 진액을 보충하는 성질을 지닌 굴을 건조한 가을에 섭취하면 체내 수분과 영양분을 보충하고 기혈 조화를 이룰 수 있다."

-몸에 좋은 굴, 어떻게 먹으면 좋을까.

 

"면역력이 떨어지기 쉬운 가을철에 먹기 좋은 보양식으로 ‘굴 생강죽’을 추전한다. 생강은 굴의 찬 성질을 중화해 소화불량을 예방하고, 한기로 인한 복통과 어패류 독성으로 유발될 수 있는 설사를 예방한다. 여기에 대추를 곁들여 쌀죽 형태로 섭취하면, 대추의 신경 안전 효과와 가을철 기침·갈증 개선에 도움을 준다.

 

뿐만 아니라 굴과 쑥갓, 표고버섯, 인삼을 함께 넣고 푹 끓인 ‘굴 전골’ 요리도 가을철 보양식으로 제격이다. 신체의 기혈 순환을 돕는 쑥갓이 굴의 찬 기운을 풀어줘 조화를 이룬다. 기력 충전에 좋은 표고버섯과 인삼을 추가하면 만성피로를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굴 섭취에 주의해야 하는 사람은.

 

"평소 속이 차고 소화력이 약해 설사를 자주하는 사람들은 굴을 다량 섭취 시 소화 기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특히 몸에 냉기가 강하고 손발이 찬 사람들은 가급적 소량만 섭취하는 게 좋다. 이 경우 생강·마늘·파 등 따뜻한 성질의 식재료와 함께 끓여, 앞서 언급한 죽·탕 요리로 먹으면 위장을 보호하고 혈액순환 및 면역 기능을 강화시켜준다.

 

아울러 굴 섭취 시 항상 노로바이러스 감염도 주의해야 한다. 노로바이러스는 급성위장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한 종류로, 구토, 설사, 복통 등을 유발하며 가열하지 않은 어패류 섭취와 오염된 지하수 사용 등이 주된 감염 요인으로 꼽힌다. 특히 날이 풀리는 가을·겨울철 유행하는 경향이 있어 해당 시기, 면역력이 약한 유아, 임산부, 고령자는 가급적 생굴 섭취를 피하는 게 좋다."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