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뉴딜’ 시대, 건설사 친환경 발전사업 선점 경쟁 치열

주택시장 불안정성 가중, 생존 전략으로 주목
현대건설·SK건설·호반건설 등 신재생 에너지 기술개발·사업화 박차

건설사들이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 기조에 발맞춰 친환경 에너지 사업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진은 SK건설이 수주한 우즈벡 부하라 정유공장.    사진 SK건설 제공

[세계비즈=박정환 기자] 최근 정부가 발표한 ‘한국판 뉴딜’의 핵심인 ‘그린뉴딜’ 산업 선점을 위한 건설사 간 경쟁이 치열하다. 정부의 잇따른 고강도 부동산 규제 정책으로 주택시장의 불안정성이 가중된 데 따른 생존전략이다. 건설사들은 위험 부담이 큰 주택사업 비중을 줄이는 대신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 등 관련 기술개발 및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대건설, 수소연료전지·조류발전 사업 추진

 

최근 현대건설은 2분기 실적 발표에서 이례적으로 신사업 관련 계획을 밝혔다. 핵심은 신재생 에너지와 스마트 시티로 정부가 추진 중인 그린·디지털 뉴딜과 궤를 같이 한다. 현대건설에 따르면 수소연료전지 발전, 해상풍력, 조류발전, 오염토 정화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수소연료전지 발전은 현대차그룹의 수소차 전략 사업에 협업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조류발전 사업의 경우 아직 국내 시공 사례가 없다. 조류발전은 댐이나 방파제의 설치 없이 해류를 이용하여 바닷속에 설치한 터빈을 돌리는 발전방식이다. 현대건설은 또 ‘스마트 팜’과 ‘케어 팜’이 결합된 그린 바이오시티,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보통신기술과 인공지능을 융합한 스마트시티 개발에 나서고 있다.

 

◆SK건설, 친환경사업부문 신설 등 조직개편

 

SK건설은 친환경 에너지 사업 진출을 위해 최근 친환경사업부문을 신설하고, 에너지기술부문을 신에너지사업부문으로 개편했다. 신설된 친환경사업부문은 스마트그린산단사업그룹, 리사이클링사업그룹 등의 조직으로 구성되며 안재현 SK건설 사장이 직접 사업부문장을 맡아 총괄한다.

 

스마트그린산단사업은 산업단지를 디지털 기반의 스마트·친환경 제조공간으로 전환하는 사업, 사이클링사업그룹은 순환경제 관점에서 사용 후 버려지는 폐기물을 친환경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전환하는 사업을 수행한다. 신에너지사업부문은 고체산화물(SOFC) 연료전지사업,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사업, LNG발전 및 노후 정유·발전시설 친경화 사업 등을 담당하게 된다.

 

실질적인 성과도 냈다. SK건설은 이달 초 우즈베키스탄 국영석유가스공사와 7180억원 규모의 부하라 정유공장 현대화 사업 설계 서비스 계약을 체결했다. 회사 측은 노후된 정유공장을 개선해 중유를 부가가치가 높은 경질 석유제품으로 전환하고 가솔린, 디젤 등의 품질을 새로운 친환경 규격(Euro V)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새만금 육상태양광 조감도. 호반건설 제공

◆태양광 발전, 배터리 리사이클 사업 진출 활발

 

태양광 발전도 건설사들이 주목하고 있는 사업영역이다. 호반건설은 지난 5월 국내 최대 규모인 새만금 육상태양광 3구역 발전사업을 수주하며 태양광 사업 진출의 신호탄을 쐈다. 이 사업은 2022년 말까지 군산시 오식도동 새만금 산업연구용지 동쪽 일원에 99㎿(메가와트) 규모의 태양광발전시설을 건설한다. 

 

GS건설은 올해 초 경북 포항에 약 1000억원을 들여 2차전지에서 연간 4500t의 니켈·코발트·리듐·망간 등 금속을 생산할 수 있는 ‘배터리 리사이클 제조공장’을 오는 2022년까지 짓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수처리 사업도 확장하고 있다. 스페인과 브라질 수처리 업체 지분을 인수하는 한편 지난 5월 싱가포르와 해수담수화 신재생에너지 상용화 연구에 착수했다.

 미얀마 에코그린시티 상하수도시설 조감도.   포스코건설 제공

◆‘정부 지원 없으면 힘들다’ 전망도

 

포스코건설은 이달 초 ‘미얀마 에코그린시티 상하수도시설 설치 사업’이 정부의 환경프로젝트 지원사업으로 선정돼 6억5000만원을 지원받는 성과를 거뒀다. 이 사업은 20만 인구가 하루에 사용 가능한 4만t의 정수장 1개소와 하수처리장 2개소를 설치하는 사업으로 총 사업비는 8590만달러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과거엔 건설사들이 사업을 발주받아 태양광 발전이나 수처리 플랜트, 배터리 재활용 공장 시설을 짓는 데 그쳤다면 이제는 직접 주체가 돼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와 글로벌 경기 침체로 주택 및 토목 분야 침체가 장기화된 데 따른 생존 전략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 지원 없이는 특별한 성과를 내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거창하게 그린뉴딜 계획을 발표했지만 구체적인 지원 내용이 없다”며 “침체기에 놓인 건설업 부활을 위해 실질적인 예산 지원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pjh1218@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