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협착증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척추관협착증은 척추의 신경이 지나가는 공간인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으로 주로 노화에 의해 발생한다. 척추관 주변 인대가 두꺼워지고 신경 통로가 좁아지면서 허리 통증과 다리 저림 같은 증상이 나타나기 쉽다. 최근에는 노년층뿐 아니라 30~40대 젊은 층에서도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해진 상황이다.
수원 S서울병원 최우형 신경외과 원장은 “척추관협착증은 퇴행성 질환으로 주로 60대 이상에서 흔하지만 젊은 층에서도 발병이 늘고 있다”며 “특히 선천적으로 척추관이 좁거나 장시간 잘못된 자세를 유지하는 경우, 무리한 운동, 사고로 인한 외상이 발병 위험을 높인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생활 습관과 연관된 요인이 젊은 층의 척추관협착증을 부추기고 있는 상황이다.
척추관협착증은 허리 통증과 하반신 저림 등의 증상이 나타나 허리디스크와 혼동하기 쉽다. 두 질환의 큰 차이는 통증이 심해지는 상황에 있는데 허리디스크는 허리를 숙일 때 통증이 심하지만, 척추관협착증은 허리를 뒤로 젖힐 때 통증이 더 강해진다. 다리 저림과 통증이 심한 경우, 척추관협착증의 가능성이 높다.
최우형 원장은 “허리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은 증상이 유사하지만 원인과 치료법이 다르기 때문에 전문적인 진단이 필수적”이라며 “허리 통증과 다리 저림이 지속되거나 점점 심해지는 경우, 정형외과나 신경외과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척추관협착증의 치료는 환자의 증상 정도와 진행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특히 고령 환자가 많은 점을 고려해 초기에는 비수술적 치료가 우선 적용되는 추세다. 약물치료, 도수치료, 물리치료, 주사치료 등이 이에 해당하며, 통증 완화와 함께 증상의 악화를 막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비수술적 치료가 효과를 보지 못하거나 하지 마비 같은 신경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신경성형술, 척추내시경시술, 미세현미경감압술, 척추고정술 등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이들 치료법은 신경 압박을 해소하거나 척추를 안정화하여 통증을 완화하고 일상생활로의 복귀를 돕는 데 중점을 둔다.
재발 방지를 위한 꾸준한 관리도 중요하다.
최우형 원장은”척추관협착증의 주요 원인은 노화로 완치가 쉽지 않으며, 치료 후에도 재발 가능성이 높다”따라서 치료가 끝난 후에도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척추질환 예방과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꾸준한 스트레칭과 주변 근육 강화를 위한 운동이 필요하고 특히 허리와 허벅지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이 도움이 되며, 생활 속에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습관도 중요하다.
정희원 기자 happy1@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