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 2028년까지 국내에 128조 투자…AI데이터센터도 빠르게"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1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대규모 국내 투자 계획을 재확인하며 한국의 AI·반도체 경쟁력 강화에 적극 나서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최 회장은 이날 회의에서 “SK그룹도 국내 투자와 고용을 좀 적극적으로 진행할 생각”이라며 기존에 계획했던 2028년까지 128조원 투자 규모가 많이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원래는 2028년까지 128조원의 국내 투자를 계획했었으나 점점 투자 예상 비용이 늘고 있다”며 “정확한 추산은 어렵지만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만) 약 600조원 규모의 투자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SK그룹은 용인반도체클러스터에 초대형 팹 4기를 구축할 예정이다. 팹 1기 규모가 이미 청주 M15X 6기에 맞먹는 수준인 만큼, 총 투자비는 600조원 안팎으로 전망된다. 급증하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AI 메모리 수요와 고성능 첨단 공정 필요성이 반영된 결과다. 최 회장은 “단지 시기가 얼마나 당겨질 수 있느냐는 수요하고 관련된 상황”이라며 “수요 측과 얘기를 잘 맞춰서 현명하게 투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고용도 대폭 확대될 전망이다. 최 회장은 “SK그룹은 매년 8000명 이상의 채용을 꾸준히 유지해왔는데, 매년 1만4000∼2만명의 고용 효과가 나타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도체 공장 하나 오픈할 때마다 2000명 이상의 추가 고용이 필요하다. 시장수요와 팹 가동 속도에 따라 직접 고용과 협력업체에 의한 간접 고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1기당 1만4000명에서 2만명의 고용 효과가 생길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날 최 회장은 한미 관세협상 결과에 대해 “대통령의 신중하고 결단력 있는 리더십으로 관세 협상을 잘 이끌어 주신 데 대해 감사드린다”며 “에이팩(APEC) 준비 중에 관세 협상 문제가 같이 겹쳐서 잘 될까, 정말 조마조마했었는데 협상이 잘 돼 에이팩 성공으로도 이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불확실성이 해소된 만큼 국내 기업들도 실질적인 경제 성장의 과실을 창출하기 위해 계속 노력을 하겠다”고 덧붙였다.

 

SK그룹은 국내 첨단산업 생태계 조성과 AI 인프라 확충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정부와 함께 8600억원 규모의 ‘트리니티 팹(Trinity Fab)’을 구축하고 있다. 이는 용인 클러스터에 조성 중인 첨단 반도체 개발용 미니 팹으로, 소부장 기업은 물론 연구기관·학계·스타트업까지 활용할 수 있는 개방형 플랫폼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최 회장은 “많은 중소기업 반도체 서플라이 체인에 있는 기업들이 테스트를 통해 상당히 빠른 속도로 기술 개발을 할 수 있게끔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AI 인프라 구축도 속도를 내고 있다.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는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손잡고 울산에 하이퍼스케일급 AI 데이터센터를 조성 중이다. 2027년 가동 시 100MW 규모로 운영돼 동북아 AI 허브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최 회장은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SK그룹은 AWS는 영남권에, 오픈AI와 서남권에 AI 데이터센터를 진행 중인데, 좀 더 빠른 속도로 AI 데이터센터를 만들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이번 글로벌 AI 허브 국가로 위상 확보를 하기 위해서 저희가 제조 AI 부분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며 “엔비디아와 AI 팩토리 협력을 하고 있고, 아마존·지멘스와 협력을 통해 산업통상자원부가 계획하고 있는 AI 자율 제조 계획에 보탬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주희 기자 jh224@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