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카눈’ 북상에 자동차업계도 긴장…태풍 시 안전운전법은

제6호 태풍 '카눈(KHANUN)'의 북상으로 부산 지역에 태풍경보가 발효된 가운데 10일 오전 연제구의 한 도로 중앙분리대가 파손됐다. 뉴시스

 북상하는 제6호 태풍 ‘카눈’으로 인해 자동차 업계도 바짝 긴장하고 있다. 폭우로 인한 침수 피해뿐 아니라 강한 바람으로 인한 차량 전도·전복 사고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에 자동차시민연합은 카눈이 강한 비바람을 동반한 강급 태풍으로 예상되는 만큼 되도록 운전을 자제하고, 부득이하게 운전을 해야할 경우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는 ‘태풍 시 안전운전법’을 공개했다. 

 

 10일 임기상 자동차시민연합 대표는 “태풍이 오면 풍압으로 제동거리가 불안정하고 사고 예측이 어려운 연계 위험성이 높아진다“며 “태풍 시간대는 가급적 운전자제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자동차시민연합은 부득이하게 운전을 해야할 경우 안전운전법도 함께 발표했다. 

 

 자동차시민연합에 따르면 자동차 주행의 최대 가혹 조건은 태풍, 폭우, 폭설 등이다. 특히 태풍의 경우 그 자동차 사고 발생 위험도가 높은 편이다.

 

 자동차시민연합이 지난 2020년 ‘마이삭’과 2016년 ‘차바’ 영향 기간의 교통사고를 분석한 결과, 이는 그해 전체 치사율보다 각각 29.9%, 26.8% 높은 수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최근 5년간 폭우를 동반한 빗길 고속국도의 교통사고 치사율은 평균보다 약 4배 높다. 때문에 강한 비바람이 동반되는 태풍 상륙 시 운전할 경우 앞차와의 거리를 평소의 2배 이상 유지하고 급제동과 급가속, 급핸들조작은 피하고 낮에도 전조등을 미리 켜고 비상등은 후행 차량을 위해 적절하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대형화물차, 버스나 덤프트럭 주행 시도 주의가 요구된다. 시속 120km 주행 시 초속 35m의 태풍에는 승용차는 1.2m, 버스는 6.5m 정도 주행 경로를 이탈한다. 

 

 자동차시민연합은 대형차를 바람막이처럼 앞에 두고 가면 안전하다는 생각은 위험한 착각이며, 승용차는 근접하지 말고 주행차로와 지정차로를 이용해야한다고 밝혔다. 또 대형차와 인접 주행으로 사고가 발생하면 대형차는 단순한 접촉사고지만, 승용차는 대형사고가 되며 차를 덮치는 위험도 배제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태풍에는 주행속도에 따라 횡풍과 풍력으로 접지력이 약해지면서 차선이탈이나 중앙선 침범 등 추돌로 인한 교통사고 위험도 증가한다. 횡풍이 심한 교량 위, 해일, 낙석 등 위험성이 많은 터널 부근, 산 절개지와 강 주변, 해안 도로는 통제구간을 확인하고 가급적 우회할 필요가 있다.

 

 태풍 영향권 지역을 통과할 때는 시야가 제한되고 빗물로 노면과의 마찰이 40% 정도 떨어지고 미끄럼 현상으로 추월 차선인 1차로 주행은 피한다. 앞차와의 거리를 평소의 2배 이상 유지하고, 급제동 및 급핸들조작도 피해야한다.

 

 자동차시민연합은 강풍 주의 표지판과 전광판을 통한 풍속 및 감속 안내에 따라 안전운전을 해야한다고 조언했다. 교량과 터널 부근은 횡풍으로 인해 차가 순간적으로 흔들리는 현상이 순간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한 손보다는 양손으로 운전하면서 속도를 줄여 통과한다.

 

 또 태풍 기간에는 폭우는 물론 강풍까지 동반하기 때문에 낙하물과 침수를 대비하기 위해 붕괴 우려가 있는 담장이나, 상가 간판 밀집 지역, 큰 나무 주변이나 불법 주차는 피하고 안전장소 주차장을 이용해야 한다.

 

 태풍 시 운전을 할 경우 타이어에 대한 사전점검도 필요하다. 타이어 접지면 마모한계선(1.4mm)까지 사용한 타이어는 배수 능력 저하로 인해 제동거리가 증가한다. 최신차라도 평소처럼 정교하게 작동되지 못하고 밀리고 돌아 버린다.

 

 태풍으로 인해 교통사고 발생 건수가 증가하는 원인은 강한 비바람의 영향으로 마모가 심한 타이어는 ‘제동거리’도 평상시보다 1.8배 이상 증가하기 때문에 적정 공기압 점검과 마모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만약 태풍에 도로상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치명적인 2차사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상현상이나 고장차는 반드시 사전 정비를 하고 주행을 해야한다.

 

 전기차는 방수기능의 수분감지 센서가 있어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여 감전을 예방하지만, 엔진룸 주황색 배선은 고압선으로 위험하다. 날씨가 좋아지면 엔진룸을 열어 습기 제거를 위해 자연 건조시켜야한다고 자동차시민연합 측은 설명했다.

 

 장마철 집중 폭우로 도로 곳곳에 포트홀이나 과속방지턱에서 심한 충격이 반복되면 전기차는 하체의 고가 배터리와 케이스가 손상되는 것도 알아둘 필요가 있다.

 

송정은 기자 johnnysong@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