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4~1974년 사이에 태어난 ‘2차 베이비부머’ 세대가 올해부터 차례로 은퇴함에 따라 경제성장률과 소비 하락이 예상된다.
한국은행이 1일 발표한 ‘2차 베이비부머 은퇴 연령 진입에 따른 경제적 영향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2차 베이비부머 954만명(전체 인구 대비 비중 18.6%)은 앞으로 11년에 걸쳐 법정 은퇴 연령(60세)에 진입한다.
한은이 2차 베이비부머의 은퇴에 따른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 하락 정도를 추정한 결과, 60대 고용률이 현재 수준을 유지한다는 가정 아래 향후 10년간 경제성장률을 연평균 0.38%포인트 끌어내리는 것으로 나왔다. 지난해 기준 60대 고용률은 남성 68.8%, 여성 48.3%다.
다만 한은은 1차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 은퇴(추정치 -0.33%포인트) 당시보다 하락 폭이 더 크지만, 정책 지원과 제도 변화 등이 뒷받침될 경우 성장률 하락폭이 줄어들 수 있다고 전망했다. 2차 베이비부머 세대 중 상당수가 은퇴 후 근로를 희망하는 데다, 상대적으로 높은 교육 수준과 정보기술(IT) 활용 능력을 갖췄기 때문이다.
한은은 정부의 정책적 지원 등으로 최근과 같은 고용률 증가추세가 앞으로도 이어진다면 경제성장률 하락폭을 0.14%포인트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일본 정부의 고령층 고용촉진 노력으로 일본에서 60대 고용률이 크게 상승했는데, 강력한 제도변화 후 고용률 추세가 우리나라에서도 나타난다고 가정할 경우에는 경제성장률 하락폭이 0.22%포인트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2차 베이비부머의 소비 감소에 따른 총소비 하락도 걱정이다. 하지만 한은은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전 실질소득·순자산이 1차를 크게 웃돌아 소비 여력이 상대적으로 충분한 만큼 정책 등에 따라 오히려 내수 기반을 강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주장했다.
이재호 한은 조사총괄팀 과장은 “2차 베이비부머의 양호한 경제·사회·문화적 특성에 효과적 정책이 더해지면 이들의 은퇴가 성장 잠재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상당 폭 축소될 것”이라며 “고령층 고용 연장 제도에 대한 논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고, 자산 유동화·연금제도 개선 등의 노력이 이어질 경우 소비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최서진 기자 westjin@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