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계나 노동계 모두 결정된 안을 놓고 볼멘소리가 크다. 경영계는 내수경제를 직접 경험하는 소상공인의 현실적 어려움을, 노동계는 물가상승률을 감안하지 않은 결정이라는 것이다. 최저임금 1만원 시대가 확정되면서 불거진 이웃의 목소리를 들어봤다.
◆자영업자의 한숨
심리적 저항선인 1만원대를 돌파하면서 자영업자의 한숨은 더 깊어졌다.
경기 수원시에서 편의점을 운영하는 이모(57)씨는 매일 12시간씩 직접 야간 근무를 해야 하는 사정을 토로했다. “야간에 편의점에서 나오는 수익보다 알바생한테 줘야 하는 임금이 두 배 많다”며 “야간에 문을 닫으면 가맹점 수수료가 높아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몸이 아프더라도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경기 안산에서 고깃집을 운영하는 정모(65)씨는 “주 5일 12시간씩 일하는 직원들은 월 400만원씩 가져가는데 저랑 가족은 근로시간 대비 최저임금도 가져가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하소연했다. 오전 1시에 마감해야 하는 날이면 정씨는 꼼짝없이 16시간씩 일해야 한다. 그는 “내년에는 어쩔 수 없이 직원들 근로시간을 줄여야 한다”며 “지금도 힘들지만 2시간 정도 줄일 생각”이라고 말했다.
◆노동자의 한숨
노동자의 사정도 여의치 않다. 물가상승 체감에 비하면 턱없이 낮은 최저임금이라는 것이다. 민주노총은 “최저임금 1만원 요구가 노동계에서 처음 나온 지 10년이고, 모든 대통령 후보들이 공약을 내세운 지도 7년이 지났다”며 “그 사이 물가는 곱절로 뛰었고, 최저임금 산입범위 변경으로 실질임금은 하락했다. 최근 2년간의 물가 폭등기에는 최저임금이 물가인상 폭보다 적게 오르면서 또 실질임금이 하락해 최저임금은 본래 취지를 이미 잃어버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 송파구에서 PC방 아르바이트를 하는 한모(21)씨는 “현재 임금으로는 식사 한 끼 하는 데도 부담이 될 정도로 물가와 괴리감이 크다”며 “주변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친구들을 보면 편의점 도시락 혹은 라면과 빵 정도로 끼니를 때우는 게 다반사일 정도”라고 말했다.
김재원 기자 jkim@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