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들의 절반은 사망보험금을 연금처럼 생전에 당겨 쓸 수 있는 유동화 제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화생명은 이같은 내용 등을 담은 ‘종신보험에 대한 고객 인식과 새로운 활용 가치 분석’ 조사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9월 25∼29일 전국 30세 이상 성인 남녀 1019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를 통해 종신보험의 인식 현황과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에 대한 소비자 반응과 생명보험의 패러다임 전환 가능성을 분석했다.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는 종신보험의 사후 중심 구조를 생전 중심으로 바꾸는 혁신적 기능으로 주목받고 있다.
조사 결과, 제도에 대한 긍정 응답은 53.4%로 집계됐다. 특히 ‘은퇴 후 노후 생활비’(37.0%), ‘중대질병 의료비’(24.4%), ‘간병비’(23.3%) 등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이번 조사에서 ‘40~50대 기혼 유자녀 가구’는 종신보험의 전통적 가치(가족 보장)와 신규 가치(생애 자산 활용)에 모두 높은 공감도를 보였다.
이들은 가족 부양과 동시에 본인 노후 대비 니즈가 강한 세대로, 종신보험 유동화 제도에 가장 실질적 수요를 느끼는 핵심 집단으로 분석됐다.
이 연령대는 ‘은퇴 후 생활비 보완’에 대한 니즈가 40대 41.0%, 50대 44.9%로 높았으며, ‘능동적 자산 활용’에 대한 공감도 또한 높게 조사됐다.
아울러 응답자들은 상품 구조의 투명성 강화와 함께 ‘요양·간병 서비스’ 등 실질적 부가 서비스 결합(68.6%)을 통해 고객 신뢰와 만족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화생명 관계자는 “사망보험금 유동화는 종신보험을 ‘사후 보장’에서 ‘생전 자산’으로 확장하는 제도적 혁신”이라며, “고객이 생애 전반에서 보험을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고도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노성우 기자 sungcow@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