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13일 전국 85개 시험지구 1310개 시험장에서 일제히 시작된다.
올해 수능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1교시 국어영역, 2교시 수학영역, 3교시 영어영역, 4교시 한국사 및 탐구(사회·과학·직업)영역, 5교시 제2외국어/한문영역 순으로 진행된다.
일반 수험생 기준으로 오전 8시 40분에 시작해 오후 5시 45분에 끝난다.
2022학년도부터 도입된 문·이과 통합형 수능 체제는 올해도 유지된다.
국어·수학 영역은 공통과목+선택과목 구조가 적용된다.
수험생들은 국어영역에서 공통과목인 독서, 문학 외에 선택과목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중 하나를 골라 응시해야 한다.
수학 영역에서는 공통과목인 수학 Ⅰ·Ⅱ와 함께 선택과목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중 하나를 선택한다.
한국사 영역은 올해도 필수로 지정돼 모든 수험생이 반드시 응시해야 한다. 미응시자는 무효 처리돼 성적통지표가 나오지 않는다.
사회·과학탐구영역은 사회·과학 구분 없이 17개 선택과목 가운데 최대 2개를, 직업탐구 영역은 6개 과목 중 최대 2개를 선택할 수 있다.
직업탐구 영역의 경우 2개 과목을 선택할 때는 전문 공통과목인 ‘성공적인 직업생활’에 반드시 응시해야 한다.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9개 과목 중 1개를 선택할 수 있다.
영어, 한국사,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절대평가에 따른 등급만 표시된다.
이번 수능에도 이른바 킬러문항(초고난도 문항) 배제 기조가 유지된다.
이번 수능엔 전년보다 3만1504명(6.0%) 늘어난 총 55만4174명이 지원했다. 총응시자 수로는 2019학년도(59만4924명) 이후 7년 만에 가장 많다.
입시 전문가들은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상위권 변별력 확보를 위해 까다로운 문항이 출제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성적 통지표는 12월 5일 수험생에게 배부된다.
김민지 기자 minji@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