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기획] 일손 메워줄 로봇의 역습…일자리 줄고 빈부격차 키울수도

-고령화시대 인력부족 대안 급부상
-글로벌 로봇시장 2025년 7조원 전망
-급성장에 따라 부정적 영향 우려도
-고용·임금감소 뚜렷…제도 마련 시급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제공

 

로봇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로봇은 과거 영화에서나 보던 상상 속의 존재가 아닌 산업과 서비스업 각 분야에서 인간의 일손을 돕고 산업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나아가 고령화·저출산이 초래하는 인구감소로 인한 노동력 부족 현상을 해결해 줄 최선의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 

 

 우려의 시선도 존재한다. 로봇이 생산성 향상의 수단만이 아닌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고 빈부격차를 심화시키는 존재가 된다는 게 요지다. 로봇기술의 안정선 문제도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는 로봇시대가 가져올 효과를 증대하고 우려를 불식시킬 선제적 정책마련에 고심하고 있지만 갈 길은 멀기만 하다 .

 

 이에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는 창간 18주년을 맞아 우리 로봇산업의 발전 현황과 경제적 효과, 향후 전망 등을 짚어본다. 또 로봇 산업 발전으로 인한 부정적 측면은 무엇이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어떤 것이 있는지도 집중 분석해 본다.<편집자 주>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2020~2030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10년 동안 우리 노동시장은 저출산·고령화 심화에 따른 노동공급 제약과 재택근무 확산, 생산과정 자동화, 기술혁신 가속화, 저탄소 산업구조 전환 등의 영향을 받아 급격하게 변화할 전망이다.

 

 급변하는 노동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산업현장이 주목하는 분야는 무엇일까. 바로 협동로봇이다.

 

 협동 로봇은 사람과 같은 공간에서 작업하며 물리적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는 로봇으로, 사람과는 독립된 공간에서 작업하던 전통적인 산업용 로봇과 달리 보다 세밀한 작업을 작업자와 함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주목받고 있다.

 

 협동로봇은 이미 지난 코로나19 팬데믹 때부터 산업현장에서 주목받아 왔다. 글로벌 제조업체들은 인력난 해소를 위해 로봇을 도입했고, 이 때를 시작으로 산업용 협동 로봇 시장의 문이 열렸다.

 

 향후 협동로봇 시장의 성장 전망도 밝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2조3236억원 규모였던 글로벌 협동 로봇 시장은 오는 2025년 6조8842억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관측된다.

 

◆로봇 Big3 두산·한화·HD현대, 국내 로봇분야를 선도

 이처럼 협동로봇 시장이 각광받자 국내 대기업들의 진출도 활발해지고 있다. 이른바 Big(빅)3 기업들이 시장을 주도하기 시작했다. 

 

두산로보틱스 협동로봇. 두산로보틱스 제공

 먼저 2015년 설립된 두산로보틱스는 두산 계열의 로봇 제조 전문업체로, 무인카페 운영 로봇 등 협동 로봇 분야에 주력하고 있다. 2019년 본격적으로 양산을 시작하며 국내외 시장에 진출, 최다 협동 로봇 라인업을 구축한 회사로 성장했다. 두산로보틱스는 협동로봇 분야에서 ▲차량 검사 ▲볼트 체결 ▲용접 분야 등에서 기술력을 갖고 있다. 

 

 지난달 4일 설립된 한화의 로봇 전문 계열사인 한화로보틱스도 해당 분야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한화로보틱스 협동로봇. 한화로봇틱스 제공

 한화로봇틱스 관계자는 “공작기계 가공물 로딩·언로딩, 용접 자동화 분야에서 협동 로봇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며 “국내 시장에서는 무인 로봇 카페(레스토랑) 등으로 사업이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외적으로는 이차전지·태양광·반도체·물류 자동화 공정에 무인이송장비(AGV)가 판매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 협동로봇 시장 빅3의 마지막 주자는 HD현대로봇틱스다. HD현대로보틱스는 1984년 현대중공업 용접기술연구소에 구성된 로봇 전담팀이 모태로, 현대중공업그룹이 HD현대로 사명을 바꾼 후 지난 3월 말 HD현대로보틱스로 재탄생했다.

 

 HD현대로보틱스는 최근 대만 테크맨로봇과 협력 방침을 밝혔으며, 3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을 통해 협동 로봇 투자를 확대해 시장 경쟁력을 키운다는 전략을 발표하기도 했다.

 

◆일자리 부족과 빈부격차 확대 우려도

 하지만 협동로봇을 비롯한 로봇산업의 발전이 이득만을 가져다 주지는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존재한다. 특히 사람 노동자들의 일자리 부족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목소리가 높다. 

 

 한요셉 한국개발원(KDI) 산업·시장정책연구부 연구위원은 지난 4월 KDI 주최로 열린 콘퍼런스에서 “2013년~2021년 디지털 기술로 대체될 수 있는 직군의 고용 또는 임금의 감소가 뚜렷하게 나타났다”며 “디지털 기술로 대체될 수 있는 직군은 고용 또는 임금 감소가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로봇과 AI가 대체하는 영업직과 제조관련 단순노무직의 경우 고용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한 연구위원은 이어 “여러 직군의 영향이 혼재돼 있지만 전반적으로 기술 도입이 임금 상승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직현황 파악 등 선제적 정책 필요

 이 같은 우려에도 협동로봇을 위시한 로봇 산업의 성장은 필연적인 것으로 전망된다. 인구 감소로 인한 제조업의 생산량 감소와 수익성 악화를 뒤집을 수 있는 사실상 유일한 방법으로 꼽히기 때문이다. 

 

 로봇업계는 장기적인 측면에서도 로봇 산업의 성장은 산업계의 노동력 부족 현상을 해결하고 생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최선의 수단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두산로보틱스 관계자는 “우리나라에서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99% 육박하는 상황에서 노동력 부족 문제는 경제적인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며 “장기적으로 본다면 이러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사람들이 보다 가치가 높은 일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얻는 경제적인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한편 로봇 증가로 인한 사람 노동자의 빈부격차 확대에 대해 업계는 선제적인 정책마련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로봇과 AI의 도입으로 인한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은 전체적인 소득배분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적인 대처가 필요하다”며 “소득재분배 정책의 일환으로 로봇이나 AI 도입으로 인한 실직 현황 등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지원제도들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송정은·신정원 기자 johnnysong@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