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희원 기자] 비만관리의 핵심은 ‘덜 먹고 많이 움직이기’다. 간단한 방법 같지만, 정작 이를 시행하는 것은 너무나 고단하게 느껴진다.
이를 다루는 영화도 많이 나와 있다. 영화 속 주인공들의 고군분투를 통해 동질감을 느껴보자. 그들이 수행하는 다이어트 방법은 얼마나 건강한 방식일까. 채규희 365mc 노원점 대표원장의 도움말로 알아봤다.
◆‘나는 살을 빼기로 결심했다’ 속 매력남의 몸매비결은?
최근 개봉해 화제가 된 대만영화 ‘나는 살을 빼기로 결심했다’는 다이어트에 지친 우리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준다. 주인공은 엄마가 운영하는 유치원 영양사인 ‘장잉주안’. 영화는 장잉주안이 다이어트를 결심하게 된 계기와 심리적 변화를 다루고 있다.
주인공뿐 아니라 영화 속에서 주목해야 할 인물이 있다. 바로 장잉주안과 우정을 이어가는 택배기사 청년 ‘우’다. 우 역시 고도비만으로 고생하다 다이어트에 성공해 매력적인 외모를 갖게 됐다.
그는 음식을 가리지 않고 맛있게 먹는다. 장잉주안이 ‘어떻게 그렇게 먹고도 살이 찌지 않느냐’고 묻자 웃으며 ‘내 매력 덕분’이라고 웃어넘긴다. 하지만 비밀은 따로 있었다. 우의 몸매 유지 비결은 ‘먹토’(먹고 토하는 행위라는 의미의 신조어)였다.
음식을 먹고 토하는 행위는 일종의 섭식장애로 볼 수 있다. 섭식장애는 최근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며 주로 선진국에서 많이 나타난다. 채 대표원장은 “먹고 토하는 행위는 ‘살이 찔까봐’ 걱정하는 강박에서 비롯되기 마련”이라며 “다이어트에 성공했더라도 다시 예전처럼 돌아 갈까봐 이같은 행위를 반복하기도 한다”고 지적했다.
채 대표원장은 이같은 행위를 반복하면 체중은 줄어들지만, 건강은 걷잡을 수 없이 악화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그는 “억지로 토하는 과정에서 위장질환이 유발되고, 식도가 상하며, 치아가 부식될뿐 아니라 근육감소로 신체기능이 저하되기 쉽다”며 “특히 섭식장애는 한번 노출되면 다시 건강한 식생활을 찾기까지 무척 고되기 때문에 이같은 방식을 절대 택해서는 안 된다”고 조언했다. 이어 “속도가 더디더라도 건강한 방식의 다이어트를 고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지방흡입에 운동 더했더니 환골탈태… ‘미녀는 괴로워’
‘한국형 변신영화’의 대표 격으로 미녀를 괴로워를 꼽을 수 있다. 고도비만이지만 실력은 출중한 백업보컬 강한나(김아중 분)는 일련의 상처를 극복하기 위해 허벅지, 복부, 팔뚝 등 전신 지방흡입을 받고 변신에 나선다.
이때 많은 사람들은 주인공이 단순히 지방흡입을 받아 변신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간과해서는 안 될 게 바로 강한나의 ‘노력’이다. 강한나는 수술 후에도 매일 러닝머신 위를 달리며 다이어트를 이어간다. 비만클리닉 전문가들은 이를 두고 ‘고증이 잘된 장면’이라고 입을 모은다.
채 대표원장은 영화 속 강한나처럼 초고도비만인 사람은 수술만 받는다고 해서 당장 44사이즈 ‘바비인형 몸매’로 변신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한다. 그는 “지방흡입을 받을 경우 보통 자신의 사이즈에서 한 사이즈 반 정도 줄어든다고 보면 된다”며 “수술 받은 부위의 둘레는 줄어들지만, 이 자체로 다이어트의 여정이 끝나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수술 후 줄어든 몸매가 동기부여가 될 수 있어 긍정적이지만, 지속적인 유산소운동과 식단관리가 병행돼야 목표에 이를 수 있다”고 말했다.
◆ 하나의 알약으로 날씬해 질 순 없을까?… ‘너티프로세서’
흔히 다이어터들은 ‘한 알만 먹으면 살이 쫙 빠지는 약이 있으면 좋겠다’며 우스개소리를 한다. 이같은 욕망을 영화로 보여준 작품이 바로코미디영화 ‘너티프로세서’다.
주인공 ‘셔먼 클럼프(에디 머피 분)’는 따뜻한 마음과 비상한 두뇌를 가졌지만 180kg의 뚱뚱한 몸매를 가지고 있다. 그는 미모의 동료 교수와 첫 데이트 약속을 잡고 1주일간 식이조절·운동 등 체중감량에 도전하지만, 변신이 어려워 풀이 죽는다. 설상가상으로 데이트날 모욕적인 이야기에 상처받고 스스로 개발하던 ‘살 빠지는 약’을 먹어버린다. 약을 먹은 직후 약 135kg을 감량하지만, 문제는 이로 인해 태어난 새로운 자아가 자신을 갉아먹기 위해 끊임없이 살빠지는 약을 먹게 한다는 것.
살 빠지는 약에 대한 연구는 오늘 날까지 계속 이어지고 있다. 비만 역시 혼자서는 치료하기 힘들며, 의학적 도움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모든 의료약들이 그렇듯, 약 만으로 모든 것이 해결되는 치료는 없다.
채 대표원장은 “식욕은 일반적으로 스스로 조절할 수 없는 혈압, 맥박, 체온과 같은 대상으로 분류된다”며 “인체는 식이조절로 체지방량이 줄어드면 식욕 증가 호르몬을 증가시키고 기름지거나 단 음식에 대한 욕구를 일으킨다”고 설명했다. 비만약과 같은 식욕억제제는 너티 프로세서의 ‘비만약’처럼 즉각적인 체중감량 효과를 내지 못하지만, 식이조절에 큰 도움을 줄 수는 있다.
채 대표원장은 “비만약의 도움을 받을 때는 전문의가 주기적으로 환자의 식이행동을 추적하고 관찰하는 것은 물론, 상황에 맞는 행동수정요법을 병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happy1@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