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S 광장] 노인을 위한 나라

 행정안전부는 지난 6월 국내 65세 이상 인구가 1000만명을 돌파해 전체 인구의 19.51%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국내 노인 인구가 1000만 명을 넘어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국민 5명 중 1명이 노인인 셈이다. 통상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 20% 이상일 때 ‘초고령화 사회’로 분류한다. 우리나라는 2025년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다. 

 

 노인 인구는 점점 늘고 있지만, 노인들의 삶은 나아지지 않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지난해 발표한 ‘2023년 연금보고서’를 보면 한국 노인빈곤율은 40.4%로 OECD 회원국 1위다. 노인 복지지수도 여전히 후진국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최근 영국 기업 에이지코(AgeCo)가 발표한 ‘2024년 노인이 살기 좋은 나라’에서 우리나라는 27위에 그쳤다. 

 

 노인들이 느끼는 사회적 고립감도 크다. 노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 때문이다. 심지어 노인은 차별과 공격의 대상이 되곤 한다. 온라인상에는 “노인네들은 강제로 면허 박탈해라” “틀딱들은 애초에 상종하지 말아야 함” 등 노인들을 모욕하고 혐오하는 글들이 넘쳐난다. 일부 정치인들이 노인 비하 발언을 일삼으며 공개적으로 노인 혐오를 조장하기도 했다. 또 최근 노인의 출입을 금지하는 ‘노 시니어 존’, ‘노 실버 존’ 카페나 운동시설 등이 등장해 논란이 되고 있다. 노인에 대한 혐오가 우리 사회 전반으로 퍼지는 모양새다.

 

 혐오와 차별은 우리 사회를 병들게 할 뿐이다. 노인은 배척하고 피해야 할 대상이 아닌 현재를 함께 사는 동반자다. 우리나라에서 ‘노인이 행복한 사회’를 만드는 건 이제 피할 수 없는 당면 과제가 됐다.

 

 노인이 살기 좋은 나라를 만들기 위해 가장 중요한 건 역시 먹고사는 문제가 걸린 일자리다. 지난달 21일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노인인력개발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5년 정부 예산안에 따른 노인 일자리 수는 109만8000개로 노인 일자리 참여를 희망하는 노인 237만1000명 대비 충족률이 46.3%에 불과하다. 양질의 일자리도 극히 부족하다. 정부가 공급하는 노인 일자리 대부분은 월 수십만 원의 용돈을 받는 수준에 불과하고 하는 일도 쓰레기 줍기, 잡초 뽑기 등 단순 노무 업무가 대부분이다. 정부는 정년 연장과 연금 개혁 논의를 서두르는 한편 다양한 양질의 노인 일자리 공급에 힘써야 한다. 퇴직 후 재고용 등을 통해 고령층의 경험과 지식을 활용할 방안도 찾아야 한다. 한국판 벤 휘태커(영화 인턴의 남자 주인공)가 많아져야 한다.

 

 또 노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고 세대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 요즘은 우리 경제·문화 생산활동의 한 축을 담당하는 ‘액티브 시니어’들이 많다. 노인에 대한 인식도 바뀌어야 한다. 

 

산업부 이정인 기자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