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글로벌 기업을 비롯해 국내 기업도 기후변화 리스크에 대응하고자 관련 분야와 기술에 대한 투자 및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는 기술인 ‘기후테크’에 대한 성장 가능성이 커지자 그에 따른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기후테크는 기후(Climate), 탄소(Carbon), 청정(Clean)의 영어 머리글자 ‘C’와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한 기술과 기후변화적응에 기여하는 기술을 말한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2022년 전세계 기후변화 대응 투자금액은 1조6000억달러로 이 중 에너지 전환이 1조1000억달러, 전략망 2740억달러, 기후테크 기업 펀딩이 1190억달러를 차지했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맥킨지는 2030년까지 9조달러 이상의 기후테크 시장이 열리고, 선도 기술을 가진 국가와 기업에 큰 사업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서 세계 각국은 2015년 지구 온도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 아래로 억제하기 위해 파리협정을 체결했고 한국을 비롯해 유럽연합(EU), 미국, 영국, 일본 등이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0’으로 만든다는 목표를 세웠다.
기후변화 대응에 필요한 온실가스 감축 속도가 예상보다 느려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기후테크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미국, 유럽, 일본, 중국 등 주요국들은 기후테크를 확보하기 위한 투자에 나섰다.
유럽은 탄소중립산업법(NZIA)을 통해 청정기술 부문의 핵심기술에 집중 투자하고 있고, 미국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으로 2030년까지 3690억달러(약 481조원) 투자할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2030년까지 민·관 합동으로 약 145조원 규모를 투자해 기후테크 분야의 유니콘 기업 10개를 육성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 따르면 기후테크 분야 중 투자금액이 가장 큰 곳은 운송·모빌리티였고, 다음으로 에너지, 식품·농업·토지 순으로 나타났다.
운송·모빌리티 분야의 벤처캐피탈(VC) 투자규모는 2013~2019년까지 연평균 151% 성장률을 보이며, 나머지 분야의 연평균(57%) 수준을 크게 웃돌았다. 이 중 전기차와 수소전기차 개발, 마이크로 모빌리티 및 플랫폼 중심으로 펀딩됐고 186개 기업이 상장에 성공하는 등 시장 성숙기 단계로 진입 중이다.
에너지분야는 재생에너지와 에너지 저장 분야에 투자가 집중되고 있다. 지난해 상반기 기준 재생에너지 투자규모는 3580억달러에 달한다. 기술 성숙도 기초단계인 핵융합과 청정수소 등 대체연료에 대한 투자도 증가하는 추세다.
다만, 우리나라는 재생에너지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이에 금융위원회는 지난달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금융지원 확대방안’ 통해 2030년까지 총 9조원의 기후기술에 대한 투자계획을 발표했다. ▲기업들의 저탄소 공정 전환을 위한 420조의 정책금융 공급 ▲청정에너지 공급 확대를 위한 9조원 규모의 미래에너지 펀드 조성 ▲기후기술 서점을 위한 3조원 규모의 기후기술펀드 시설을 추진할 방침이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우리나라는 발전량 중 재생에너지 비중이 OECD 평균에 비해 낮은 수준”이라며 “미래에너지펀드가 재생에너지 설비 증설에 필요한 금융수요 160조원의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농업과 기술의 합성어인 ‘애그리테크(AgriTech)’ 분야에서는 대체식품과 정밀농업 성장이 주도하고 있다. 정밀농업의 경우 아직 상업화 단계는 아니지만 기술혁신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어 VC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기후테크 성장 가능성은 높지만, 이들 기업에 대한 민간투자와 정부지원 한계가 존재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불어 기후테크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초기에 기업 대상 금융지원 확대와 민관협력을 유도할 방안의 필요성도 함께 나온다.
김지현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VC가 선도적인 신규 기업을 발굴·지원하고 기술 상업화를 가능하게 만들 것으로 기대하나 기후테크 기업의 경우 투자회수의 불확실성이 높아 VC입장에서도 투자결정의 어려움이 있다”며 “주요 국가들이 다양한 정책을 통해 지원하고 있으나 민간자본 참여를 충분히 유도하지 못하고 기업의 정부자금 의존도가 심화될 위험도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기술 초기 단계의 기업도 성장할 수 있도록 기후테크 기업의 성장 단계별 정책자금 지원 강화 및 과감한 규제 완화를 통해 우수기술 보유 기업 발굴 및 지원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연구위원은 “최근 글로벌 금융회사도 기후테크 시장의 급성장에 대응하기 위해 기후테크 스타트업 투자를 확대 중”이라면서 “국내 금융사도 기후테크 산업 내 기술 성숙도와 스케일을 고려한 프레임워크와 전략적 접근을 통해 새로운 금융기회를 발굴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주희 기자 jh224@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