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찰이 882억원 규모의 부당대출을 실행한 국책은행 IBK기업은행 본점을 압수수색했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는 불법대출 혐의로 기업은행 본점과 서울 소재 일부 지역센터 및 지점, 대출담당자 주거지 등을 압수수색했다고 1일 밝혔다.
기업은행에서 퇴직한 A씨는 2017년 6월부터 7년 동안 부동산 중개업소와 법무사 사무소 등을 차명으로 운영했다. 또한 행원인 배우자, 입행 동기 및 사모임 등을 통해 친분을 형성한 다수 임직원과 공모하는 방법으로 거액의 부당대출을 받거나 알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당대출에 관여한 임직원 다수가 금품 및 골프 등 향응을 수수한 정황도 포착됐다. A씨가 관련된 부당대출은 총 51건, 785억원에 이른다.
영업점의 대출을 점검·심사해야 할 심사센터장 B씨는 실차주와 공모해 실차주 관계사 대표를 자신의 처형으로 교체하고 영업점의 지점장인 입행 동기를 활용해 27억원에 이르는 부당대출을 신청하도록 한 후 본인이 승인했다. B씨는 부당대출 대가로 차주사로부터 처형 명의의 급여를 수령하고 법인카드를 받아 사용했다.
기업은행 직원 C씨는 퇴직직원 D씨에게 2억원을 투자한 후 D씨의 요청으로 70억원에 이르는 부당대출을 취급하고 투자금 회수 명목으로 D씨로부터 시가 4억원 상당의 지식산업센터 부동산을 수수한 혐의를 받는다.
금감원 수사 의뢰를 받은 검찰은 지난달 17일 서울, 인천 등 대출 담당자와 차주 관련 업체 20여곳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부당 대출 과정에 기업은행 조직 차원의 개입 여부를 살펴볼 전망이다.
이에 대해 김성태 IBK기업은행장은 지난달 26일 대국민 사과를 했다. 부당대출을 저지른 해당 직원에 대한 징계를 내리고, 앞으로 대출 건에 대해선 부당대출 방지 확인서를 제출하는 등 재발 방지 대책도 내놓았다. 김 은행장은 “이번 사건으로 고객과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려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면서 “이를 철저한 반성의 기회로 삼아, 빈틈없는 후속조치와 재발방지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IBK기업은행은 IBK 쇄신위원회 구성을 완료하고 지난주 발표한 IBK 쇄신 계획 실행에 속도를 낸다고 밝혔다. IBK 쇄신위원회는 이날 첫 회의를 열고 기업은행의 업무프로세스, 내부통제 및 조직문화 쇄신 방향 등에 대해 논의를 시작했다. 쇄신위원회」는 위원장을 포함한 외부전문가 3명과 기업은행 준법감시인 및 경영전략 담당 부행장이 내부위원으로 참여해 IBK 쇄신 계획이 철저하게 이행되는지 점검하고 이사회에도 보고해 실행력을 높일 예정이다.
위원장으로는 정순섭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내정됐다. 또 송창영 변호사와 김우진 서울대학교 교수가 외부위원으로 확정되어 쇄신 범위나 대상에 제한 없이 기업은행 업무 전반에 대한 고강도 쇄신을 전담할 계획이다.
또한 기업은행은 지난달 28일 내부자 신고제도 활성화 및 금융사고 예방을 위해 외부 채널에서 내부자 신고를 접수하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해당 시스템 도입으로 은행 직원들은 소셜 컴플라이언스 플랫폼 ‘케이휘슬’ 사이트 또는 QR코드를 통해 외부 채널로 접속해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불안감 없이 내부 비위 등을 준법지원부 소속 담당자에게 신고할 수 있다. 준법지원부도 이 채널을 통해 익명의 신고자에게 처리 결과 등을 통지할 수 있다.
유은정 기자 viayou@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