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월세 비중 처음 60% 넘었다…지방 빌라는 83% 수준

 서울 시내의 한 부동산 앞에 오피스텔 매물 가격표가 붙어있다. 뉴시스

 

전국 신규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이 최초로 60%를 돌파했다. 특히 지방에서는 10명 가운데 8명 이상이 월세 계약을 맺을 정도로 월세의 강세가 두드러진다.

 

1일 국토교통부가 내놓은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1∼2월 전국 전월세 신규 거래 중 월세(보증부 월세∙반전세 포함) 비중은 61.4%다.

 

지금까지 월세 강세는 꾸준했다. 1∼2월 기준 해당 비중은 2021년 41.7%, 2022년 47.1%, 2023년 55.2%, 지난해 57.5%에 이어 60%를 넘어선 것이다. 4년 동안 20%포인트 가까운 증가세를 보였다. 

 

지방에서 월세의 비중은 특히 높다. 수도권이 60.2%로 1년 사이 3.1%포인트 늘었고 지방은 63.5%로 5.4%포인트 증가했다. 서울의 월세 비중은 65.2%였다. 아파트 월세 비중이 매년 원만한 상승세인 반면 빌라로 여겨지는 비아파트 월세 비중은 가파르게 상승 중이다. 

 

전국 아파트 월세 비중은 올해 1∼2월 44.2%로 1년 사이 2%포인트 증가했으며 서울이 43.8%, 지방은 45.4%다. 지방 비아파트의 월세 비중이 82.9%, 서울 76.1%, 수도권 73.2% 순이었다. 이는 지방 빌라에서 대부분 월세 계약이 이뤄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현상은 최근 전세사기로 인한 빌라 전세 기피 현상이 나타났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집값이 요지부동인 상태에서 임대인들이 수익률 향상을 위해 월세로 전환하는 추세가 더해졌다. 더구나 기준금리 인하도 월세 선호현상에 한몫했다. 올해 1월 기준 수도권 전∙월세 전환율은 5.9%, 지방은 6.9%로 세입자들의 월세 부담금은 점점 불어나고 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금리 인하 기조와 전세사기 여파 등으로 일부 임대인은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 가입이 가능할 만큼 전가세율을 낮추고, 나머지는 월세로 전환하며 월세화가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경기 둔화로 금리가 낮아질수록 월세화 흐름은 강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김재원 기자 jkim@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