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데이터센터 화재 대응 현장 점검 나선다… 제도 개선 본격화

지난 15일 화재 사고가 발생한 경기 성남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현장. 리튬이온 배터리 렉 5기가 소실되어 있다. 이기인 경기도의원실 제공

[세계비즈=권영준 기자] 정부가 인터넷데이터센터(IDC)에 대한 현장 점검에 나설 예정이다. 이와함께 최근 SK C&C 데이터센서 화재 사고에 따른 ‘카카오 대란’과 같은 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제도 개선 작업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일 ‘국내 데이터센터 사업자 긴급 점검회의’를 열고 데이터센터 전반에 대한 세부 보호조치 상황을 점검했다. 또한 화재 등 비상 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방안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KT클라우드,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 LG CNS, 삼성SDS, 롯데정보통신, 하나금융티아이, 데이터센터연합회, 한국정보통신산업연구원 등 데이터센터 관련자들이 참석했다.

 

회의를 주재한 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은 “재난상황에서도 데이터센터가 끊김 없이 운영될 수 있도록 전력, 소방 등에 대한 보호조치 기준을 구체화하고 정기적 점검과 대비가 가능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정삼 과기정통부 정보보호 네트워크정책관은 “다음주 국정감사가 끝나면 각 IDC 현장 점검을 통해 취약점을 안내하고 자체적으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며 “점검 방법은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았지만 2018년 KT 아현국사 화재 당시 추진했던 사례를 참고해 진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날 회의에선 배터리 사용에 따른 화재 대응 방안으로는 IDC 구조 분리 방안이 공유됐다. 이번에 화재 사고가 난 SK C&C 판교 데이터센터는 배터리실과 UPS실이 함께 있다. 이에 화재 진압시 안전을 위해 전원을 모두 차단하면서 카카오 대란이 발생한 것이다.

 

다만 업계에서는 이 역시 모든 IDC 업계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은 아니다. 처음부터 IDC용으로 지은 건물의 경우 분리가 가능하지만 기존 건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구조상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날 김 정책관은 “건물 특성에 맞는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하다”며 “잘 대응하고 있는 곳에 대한 사례 공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가 연구 중인 가이드라인 제정을 지원할 계획이다. 김 정책관은 “정부가 직접 만들기보다 협회가 준비 중인 가이드라인을 지원할 것”이라며 “법제화도 진행 되지만 완료까지는 상당한 기간이 걸리는 만큼 공백 기간에 정부와 기업이 협력해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young0708@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