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통가가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프로젝트를 전개하고 인적, 물적 교류를 통해 각 지역과 상생을 추진한다.
꾸준히 ‘로코노미(지역과 경제의 합성어)’에 나서고 있는 기업은 한국 맥도날드다. 맥도날드가 2021년부터 이어오고 있는 로컬 소싱 프로젝트 ‘한국의 맛’은 국내산 식재료를 활용한 신메뉴를 출시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고객에게는 더 맛있고 신선한 메뉴를 제공한다는 취지로 전개되고 있다.
마늘을 활용한 창녕갈릭버거(2021), 돼지고기와 대파를 활용한 보성녹돈버거(2022), 진도 대파 크림 크로켓 버거(2023)가 인기리에 판매됐고, 올해는 진주 특산품 고추를 활용한 메뉴를 선보였다.
한국 1인당 연간 고추 소비량은 4㎏로 세계에서 가장 많다. 맥도날드는 이번 한국의 맛 프로젝트를 위해 국내 시설 재배 생산량 1위인 진주 고추를 약 5톤 수매했다. 광고 영상에는 진주지역에서 농사를 짓고 있는 농민들이 직접 모델로 출연한다.

신제품 출시에 진주시가 들썩인다. 진주 맥도날드 외벽을 진주 고추 버거로 꾸미고 ‘고추 버거의 고향 진주에 잘 오셨습니다’라는 문구가 적힌 고추 모양 대형 풍선도 띄웠다. 조규일 진주시장은 “진주시 농민들이 정성 들여 키운 진주 고추가 맥도날드를 통해 더 건강한 맛으로 태어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상은 제주도와 동반 성장을 위한 방안을 마련했다. 대상은 제주도, 제주도 경제통상진흥원, 동반성장위원회와 함께 ‘제주 지역 상생브랜드 상품 출시’를 위한 4자 간 업무 협약을 체결해 ▲상생브랜드 출시 참여 중소기업의 역량강화 지원 ▲상생브랜드 상품 기획 및 브랜드 마케팅 추진 ▲지역사회 환원 환류체계 마련 등을 약속했다.

롯데웰푸드는 지난 10일 동반성장위원회(동반위)와 ‘지역 동반 성장을 위한 상생협약’ 업무 협약을 맺고 전국 각지 골목상권 맛집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상생협력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롯데웰푸드는 상생 기금을 출연하고, 동반위와 함께 지역 소상공인의 델리 메뉴를 제품화해 출시하는 상생 프로젝트 ‘어썸바잇트’를 전개한다. 선정된 맛집의 대표 메뉴는 세븐일레븐을 통해 판매된다.
충청남도와 ‘맛남상생’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 CJ프레시웨이는 충남 부여군 맛집 ‘메밀꽃필무렵’의 대표 메뉴 ‘수박막국수’를 구현해 본사 구내식당에 제공했다. 이를 시작으로 충남의 다양한 농특산물과 연계해 현지 맛집의 메뉴를 선보이며 지역 농가 판로 확대, 외식업 홍보 지원을 시작한다.

B2B 식자재 전문 기업 푸디스트는 지역 농가와 계약재배에 관한 협약을 체결해 총 920톤에 이르는 양배추, 무, 부추를 수매한다. 오리온 그룹도 오리온 그룹은 지난 8일 사회공헌 기금 1억3000만원과 ‘닥터유 제주용암수’, ‘초코파이情’ 등 1억원 상당의 제품을 제주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기탁했다.
정가영 기자 jgy9322@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