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대중∙대미 수출 격차가 21년 만에 최소치를 기록한 가운데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6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을 향한 수출 규모는 1330억2600만달러, 미국을 향한 수출 규모는 1277억9100만달러를 기록했다. 대중 수출이 2023년보다 6.6% 늘어난 반면 대미 수출은 10.45%가 증가하며 둘 사이 격차는 2003년 이후 가장 적은 52억3500만달러로 집계됐다.
중국은 2003년 미국을 제치고 한국의 수출시장 1위가 된 뒤 현재까지도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 2001년 중국의 세계무역기구(WTO) 가입과 2015년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발효가 큰 영향을 미쳤다. 그러면서 2위 미국과의 격차도 갈수록 커졌다. 2018년 한국의 대중∙대미 수출 격차는 894억500만달러까지 벌어졌다. 그해 대중 수출액은 대미 수출액의 2배를 넘었다.
그러나 최근 흐름이 바뀌고 있다. 한국의 대중 수출은 2022년부터 감소하는 추세인 반면 대미 수출은 2017년부터 8년 연속 플러스 성장 중인 것. 특히 대미 수출은 지난해까지 7년 연속 최대 실적을 갈아치웠다. 그렇게 격차가 갈수록 줄더니 중국이 미국을 처음으로 역전한 2003년의 8억9100만달러 이후 가장 가까워졌다.
대중 수출 감소는 중국의 내수 부진과 더불어 한중 교역 구조의 변화에서 기인한다. 기존에는 한국이 중간재를 중국에 수출하고 이를 완제품으로 만든 중국이 세계시장에 내놓던 구조였으나 최근에는 중국의 중간재 수입은 줄고 자급율은 오르고 있다.
반면 미국으로의 수출은 자동차(+8.2%), 반도체(122.8%), 일반기계(3.6%), 컴퓨터(196.8%) 등 주요 물품의 증가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삼성, SK, 현대차, LG 같은 국내 대기업들이 미국 내 첨단산업 설비 투자를 확대하면서 관련 기계류 및 중간재 수출 증가가 이뤄졌다. 반도체의 경우 현지 빅테크 기업의 인공지능(AI) 서버 투자 확대도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추세는 ‘트럼프 2기’ 출범과 함께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자국 우선주의를 주창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특히 중국을 향해 강한 규제를 예고한 상태. 오는 20일 공식 취임 이후 미국과 중국의 갈등은 갈수록 심해질 것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정세에 한국도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
장상식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도 “향후 미중 갈등과 중국의 자립 의지를 고려하면 대중 수출이 증가하긴 쉽지 않을 것”이라며 “한미 동맹을 바탕으로 첨단산업 분업 체계와 공급망 강화를 통해 미국과 상호보완적인 교역을 늘려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박재림 기자 jami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