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쉐보레 볼트EV로 연비왕 도전 성공 비결은?

강력한 회생 제동 장치로 '무한 충전'에 평소처럼 '탄력 주행'으로 '연비왕' 등극

기존보다 1회 충전 주행가능 거리가 383㎞에서 414㎞로 늘어난 2020 볼트EV를 타고 연비왕에 도전해봤다. 사진은 2020 볼트EV 주행 모습. 한국지엠 제공

 

 [세계비즈=한준호 기자] 한국지엠 쉐보레의 전기차 볼트EV가 더욱 진화했다.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1회 충전 시 주행가능 거리를 383㎞에서 414㎞로 늘려 동급 최강 주행가능 거리를 확보했다는 것이다. 실제 최근 서울과 강원도 양양을 왕복하는 401㎞의 장거리 시승행사에서 새로운 볼트EV를 직접 경험해봤다. 특히 이번 시승행사에서는 연비왕을 따로 뽑기로 해 나름 신경을 쓰면서 운전하고자 했지만 쉽지 않았다. 

 

 과거 한 자동차 전문기자가 에어컨은 일절 가동하지 않고 공기저항을 최소화한다는 이유로 사이드미러까지 접은 상태로 위험천만한 운전에 도전했던 일화는 유명하다. 그렇게까지 할 필요 없이 탄력주행을 최대화하고 급가속, 급정지를 피한 채 회생 제동 장치를 통해 주행과 동시에 충전까지 해가면서 연비 운전을 했다. 

 

 타기 전과 중간 휴게소에서 휴식을 취하며 디자인을 살펴봤다. 2020 볼트EV의 디자인 변화는 크지 않은 편이었지만 쉐보레의 특징인 듀얼포트 그릴에 입체적인 음각 문양이 추가된 정도였다. 외장 컬러는 선택 폭이 더욱 넓어졌다. 트레일블레이저에 적용돼 호평받은 ‘이비자 블루’는 물론, ‘미드나이트 블랙’ 컬러가 새롭게 추가돼 총 여섯 가지 색깔을 선택할 수 있다. 

 

 실내는 널찍한데 차 앞에는 전기 모터를, 밑바닥에는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해 효율적인 공간 확보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5인까지 탑승할 수 있으며 휠 베이스도 넓어 뒷좌석에 앉아도 편안하다. 실제 볼트EV는 일반 SUV보다도 높은 헤드룸을 확보했고 뒷좌석 레그룸도 준중형차 이상의 공간이 나온다. 

 

 이 외에 2020년형 모델은 각종 옵션도 추가됐다. 주차 시 차량 주변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게 해주는 ‘디지털 서라운드 비전 카메라’가 새롭게 적용됐으며, 기존 아날로그 방식의 후방 카메라 역시 디지털 방식으로 향상해 화질이 개선됐다.

 

 이제 본격적으로 운전에 들어갔다. 남은 주행 가능 거리가 핸들 뒤 클러스터에 표시되고 동시에 엔진 가동 시 소모되는 전력량이 노란색 숫자로, 회생 제동 장치를 통해 충전되는 전력량이 초록색 숫자로 표시됐다. 주행하면서 실시간으로 이를 확인하다보면 연비 운전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됐다. 

 

2020 볼트EV 주행 모습. 한국지엠 제공

 

 시동을 켜도, 가속 페달을 밟아도 전혀 소리가 나지 않았다. 고속도로에 진입해 조금 세게 가속 페달을 밟자 금세 시속 100㎞에 도달했다. 실제 볼트EV는 시속 100㎞ 도달 시간이 7초에 불과하다. 2ℓ 배기량의 국산 중형차가 10초 내외인 것을 고려하면 가속 성능이 뛰어나다. 영구 자석 모터가 탑재된 드라이브 유닛은 최고출력 204마력, 최대토크 36.7㎏.m을 발휘해 웬만한 스포츠 쿠페와 비교해도 뒤지지 않는다.

 

 그러나 아차 싶었다. 마음껏 속도를 즐기다 보니 연비를 전혀 생각하지 않은 것이다. 다만, 평소 운전 습관대로 탄력 주행(어느 정도 속도가 붙으면 가속 페달에서 발을 떼고 주행하기)을 할 때마다 초록색 숫자로 10∼60㎾가 표시되며 충전이 되고 있었다. 

 

 더구나 이번에 볼트EV의 변속기를 D에서 밑으로 내리면 L로 바뀌는데 이 모드를 계속 유지했다. 말 그대로 끊임없이 회생 제동 장치를 통해 충전이 가능한 모드였다. 또한 가속 페달에서 발을 떼면 속도가 알아서 줄어들어 브레이크 페달을 전혀 밟지 않고 운전할 수 있었다. 

 

 설정된 시승 구간 중 한계령에 다다르자 급격하게 휘어진 경사로가 이어졌다. 어지러울 정도로 휘어지는 구간인데 여기서도 볼트EV는 두터운 토크감으로 오르막길을 주저 없이 올라갔다. 내리막에서는 속도를 줄이기 위해 가속 페달에서 발만 떼고 운전을 이어갔는데 충전이 계속 이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보람이 생길 정도였다. 

 

 양양에 도착해서 확인하니 주행가능 거리가 출발 시 401㎞에서 250㎞ 남았다. 이제 돌아갈 때도 신경을 써야 한다. 날이 더워 에어컨도 켠 상태였고 일정한 속도를 유지한 채 주행한 것도 아니었는데 다른 차에 비해 꽤 긴 주행가능 거리였다. 돌아올 때도 동일하게 속도를 낼 때는 내면서 평상시처럼 운전했다. 서울에 도착하고 나니 계기판에는 98㎞를 더 주행할 수 있다고 표시됐다. 그렇게 연비왕에 등극할 수 있었다.

 

 tongil77@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