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턱 낮아진 서민금융] 금융권도 포용금융 화답...소상공인·중기 등 지원 확대

국내 1호 상생 쇼핑타운 '여주 프리미엄 빌리지'가 31일 경기도 여주시에 문을 열었다. 사진=뉴시스

정부가 서민·청년 지원을 위해 두 팔을 걷자 금융권도 이에 화답했다.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에 손을 내밀며 포용금융을 실천하고 있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내 은행들은 연간 6000억~7000억원을 부담해 25만명, 대출액 14조원 규모의 소상공인 금융지원에 나선다. 지난달 23일 조용병 은행연합회장과 20개 사원은행 은행장들은 김병환 금융위원장,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간담회를 가지고 ‘은행권 소상공인 금융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은행권은 ▲연체 전 차주에 대한 맞춤형 채무조정 ▲폐업자 저금리·장기분할상환 프로그램 ▲상생 보증·대출 ▲컨설팅 프로그램 도입을 추진한다. 연 6000억~7000억원의 이자 부담 경감과 출연으로 연 25만명, 대출액 14조원에 대한 소상공인 금융지원이 이뤄질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정부의 7·3 소상공인 종합대책을 보강해 빠짐없이 촘촘하게 지원하면서 일회성이 아닌 지속가능한 방안으로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을 추진한다. 지난해에도 2조원 규모의 민생금융지원으로 자영업자·소상공인의 이자를 환급한 바 있다.

 

하나은행은 지난 1일부터 환율 변동으로 자금난을 겪는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기업당 최대 20억원, 총 3000억원 규모의 특별대출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우리은행도 자영업자를 위한 경영안정자금을 공급한다. 최근 환율급등 피해 중소기업을 위한 ‘경영안정 특별지원’ 등 경영 애로를 겪고 있는 소상공인·중소기업의 유동성 지원을 오는 3월 말까지 실시 중이다.

 

신한은행은 자금운용이 어려운 중소기업을 위해 금융지원을 시행하고 있다. 업체당 소요자금 범위 내 10억원까지 신규 대출 지원, 대출만기 시 원금 일부 상환 조건 없는 만기연장, 분할상환금 납입 유예 등을 지원한다. KB국민은행 역시 소상공인에게 필요한 금융 및 비금융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할 계획이다.

 

민족 대명절인 설을 앞두고 소상공인·중소기업을 위한 금융권의 지원은 이어진다. 은행권은 설 연휴 전후로 소상공인·중소기업에 거래기여도, 신용등급에 따른 금리 우대 등을 반영해 총 79조4000억원(신규 32조원·만기 연장 47조4000억원)의 대출을 공급할 예정이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은 각각 15조1000억원(신규 6조1000억원·만기 연장 9조원) 규모의 설 특별자금을 다음 달 14일까지 지원한다. 이들은 개인사업자를 포함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최대 1.50%포인트의 금리 우대 혜택도 제공한다. NH농협은행은 13조원(신규 5조원·만기 연장 8조원), IBK기업은행도 9조원(신규 3조5000억원, 만기 연장 5조5000억원)의 유동성을 공급한다.

 

카드업계는 중소 카드가맹점의 자금 애로 해소를 지원하기 위해 가맹점 대금을 최대 7일 먼저 지급한다. 46만2000개 중소 가맹점(연 매출 5억~30억원)에 대해 별도 신청 없이도 연휴 기간 이전부터 발생한 카드 결제대금을 신속히 지급할 예정이다.

 

최정서 기자 adien10@segye.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egye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